학술논문
韓國과 日本의 憲法上障碍人Sports權에 關한 硏究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f Sports Human Right to Disabled People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白允喆(YUNCHUL BAEK) 金漢陽(HANYANG KIM)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11권 제3호,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한국에서는 헌법 개정 논의를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통치기구 중 대통령의 임기를 중임제로 개정하는 안이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헌법학회 등에서는 기본권 중에 새로이 현대에 논의되고 있는 스포츠권, 건강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에 대해서 새로이 논의하고 있다. 이 중에 스포츠기본권이 현행 헌법개정안에 포함시키느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입법 활동을 하고 있다. 스포츠인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스포츠 선수에 대한 구분인데, 순수하게 건강을 위한 스포츠인과 경쟁을 위한 스포츠선수, 아마추어적 여가선용을 위한 스포츠와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직업적인 스포츠선수 구분 등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가와 스포츠단체들은 국민의 대다수가 즐기는 운동과 고도의 능력과 기술이 요구되는 스포츠, 직업스포츠 등을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스포츠선수는 프로스포츠선수와 아마추어선수가 아닌 장애를 갖고 있는 스포츠선수이다. 그리고 한국에서 스포츠권이 헌법상 인정이 되는 기본권인가 여부를 먼저 다루고, 이러한 스포츠권이 인정된다는 전제하에서 한국과 일본에서 논의하고 있는 장애인의 스포츠 권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스포츠 활동은 장애인에서 있어 경제적 평등과 행복추구권을 이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스포츠권을 장애인이 기본적으로 누려야할 기본권으로서 이해하고 장애인의 스포츠권을 기본권으로서의 인식과 국가적 차원의 집중투자와 육성책이 마련된다면 장애인스포츠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할 것이다. 또한 정부와 국회는 장애인 인권보호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정책적 개입을 통한 중재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장애인 복지행정 전달체계를 강화와 인력 및 예산을 확대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세부적으로 장애인의 생활에 기본이 되는 接近權, 移動權, 交通權의 보장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의 지름길일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Sports Players information, individual righ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ing to oneself and Sports Human Right to Disabled People in Korea and Japan. Every Europe country where interests in privacy of individual information is making a law about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belongs to enterprise from a business ethics or personal right protection point of view. And enterprise is working out a countermeasure about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sporting rights be admitted as a constitutional right and their sporting rights be also guarantee in an aspect of the dignity of man and valu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But everyone admits that the welfare and sport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necessary at least in rationality, and rejecting to found them in his or her region. The sporting rights in the constitution are thought to be the subject of a bill so that we can help the disabled to get their real rights back. Only in case that they should be included in a subject of a lav of sports promotion, they can take advantage, and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is. Argument is advancing to with depth to the disabled person sport right in Korea and Japan. The efforts which are going to study desire of people and the problem of an obstacle with the obstacle which participates in a gymnastic activity, and are going to improve are required for the future of disabled person gymnastics. By moreover, the individual who leads the right of happiness and equal right which the international result and all human beings pursu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who did social integrated and When reflecting synthetically in a disabled person gymnastics policy and its execution the duty of an administration to decide the policy which has on many people etc. at harmony, it will be wishful to achievement of a future vision.
목차
Ⅰ. 憲法上Sports權
Ⅱ. 憲法上障碍人의 Sports權
Ⅲ. 障碍人스포츠選手와 個人情報自己決定權
Ⅳ.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에 있어서 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 韓國과 日本의 憲法上障碍人Sports權에 關한 硏究
- 운동부내 성폭력 실태와 대응방안
- 스포츠산업진흥법과 국제통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퍼블리시티권 침해와 손해배상의 범위에 대한 연구
- The Agenda for Development of Asian Sports Law
- 일본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보호를 위한 제도
- 엔터테인먼트법상 법률의 선택에 관련된 국제저작권법의 일반원칙
- Building the Judging and Scoring Standard for Olympic Games; Study on Yang Tae Young case*
- 스포츠사고와 보험사기
- 日本文化政策의 法的構造에 관한 一考察
- ‘예탁금제’ 골프회원권자의 ‘회칙’과 관련된 법률분쟁
- 국민체육진흥법 제정 의도와 배경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