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eparing for the Trend of Aging in Place: Identifying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Integrated Care Professionals
이용수 3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Choi, Eun Jeong Park, Myonghwa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3권 제3호, 273~28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of older people. Methods: This study used a methodological approach, and the specific process aim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integrated community care using a scoping review and validating the identified competencies with the Delphi method. The scoping review first identified relevant studies through the following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We then selected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analyzed their results to identify a draft version of the competencies. Expert panels validated the list of competencies through two rounds of the Delphi survey. Results: The two rounds of the Delphi survey revealed a consensus. Finally, we developed an interprofessional competency for integrated community care comprising 19 interprofessional core competencies, 20 integrated core care competencies for community care administrators, 13 integrated core care competencies for care coordinators, 13 integrated core care competencies for local service providers, and 12 integrated core care competencies for community health leaders. Conclusion: This study can help inform job descriptions, evaluate relevant professionals’ performances, and develop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better practice.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복지시설 CCTV 설치에 대한 시설 종사자와 보호자의 인식
- 요양병원 노인 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실무 과정과 장애 요인을 중심으로
- 중년기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죽음불안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간의 관계
- 한국 후기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거주지역의 영향
-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의 기능 상태와 돌봄 평가가 주부양자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 재가수급자 대상 방문간호 원격협진에 대한 실증 연구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정상회귀와 치매진전 영향요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분석
- Preparing for the Trend of Aging in Place: Identifying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Integrated Care Professionals
- 도시 지역 여성노인의 요실금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