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병원 노인 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실무 과정과 장애 요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312
- 영문명
- Nurses’ Experiences on End-of-Life Care for Olde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cusing on the Process of Practice and Barriers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김익태(Kim, Iktae) 송준아(Song, Jun-Ah)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3권 제3호, 311~32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process and barriers of end-of-life nursing practice for olde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by exploring nursing experts’ actual experiences.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9 nurses in 3 different long-term care hospitals from April to May, 2019.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Five themes and 14 sub-themes emerged for nurses’ perception regarding end-of-life nursing practice in long-term care hospitals, whereas three themes and 10 sub-themes emerged for the barriers of end-of-life nursing practi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d-of-life nursing practice is currently considered an additional area beyond nurses’ existing work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he area of performance is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physical care. The care is especially lacking i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areas. Moreover, aspects of practice vary by institutions, day or night shifts and individuals. Various factors that hinder nurses’ performances of end-of-life care are identified in the areas such as ignoring patients’ dignity, an underdeveloped system and lack of supportive environment.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standardized protocols for end-of-life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ose protocols.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복지시설 CCTV 설치에 대한 시설 종사자와 보호자의 인식
- 요양병원 노인 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실무 과정과 장애 요인을 중심으로
- 중년기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죽음불안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간의 관계
- 한국 후기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거주지역의 영향
-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의 기능 상태와 돌봄 평가가 주부양자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 재가수급자 대상 방문간호 원격협진에 대한 실증 연구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정상회귀와 치매진전 영향요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분석
- Preparing for the Trend of Aging in Place: Identifying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Integrated Care Professionals
- 도시 지역 여성노인의 요실금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