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SOMA 힐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63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MA Healing Program for Local Resident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서예원(Suh, Ye-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7권 제2호, 81~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과 여가, 교육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지역사회 주민과 대학의 공동체 문화를형성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SOMA 힐링 프로그램’을 설계, 개발하였으며, 현장 적용과 평가의 단계를 거쳤다. 프로그램 설계에서는 소매틱스 방법론과 아르헨티나 탱고의 원리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표와 내용이 제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0회에 걸쳐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프로그램의 효과는 신체적·정신적 이완, 몰입으로 인한 행복감, 신체적·정신적 문제 해결, 친목과 사교 등이다. 이것은 본 프로그램이 소매틱스방법론을 적용해서 춤을 추는 방식으로, 신체와 정신을 통합적으로 개발하는 소매틱스 원리의 긍정적 효과로 인한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아르헨티나 탱고의 접촉, 연결, 상호소통과 같은 원리들은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들을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SOMA 힐링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주민의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을 발견하고 행복감과 삶의 활력 등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을 뿐 아니라 문화공동체로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결매체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atisfy the health, leisure, and education needs of local residents, andto form a community culture of local residents and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ʻSOMA Healing Programfor Local Community Residentsʼ was designed and developed and went through the stages of fieldapplication and evaluation. In the program design, the Somatics methodology and the principles ofArgentine Tango were explored, and the program goals and contents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The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residents of the local community 10 times.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made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effects of theprogram shown through the interview include physical and mental relaxation, a sense of happiness fromimmersion, solving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nd communion and socializing. This can be interpretedas due to the positive effect of the somatic principle, which develops the body and mind in a way thatthis program dances by applying the somatic methodology. In addition, the principles of Argentine Tangosuch as contact,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could have been helpful in solving the psychologicalproblems of people. Therefore, the SOMA Healing Program not only solved the physical and mentalproblems of local residents, found themselves, gave positive effects such as happiness and vitality of life,but also served as a connecting medium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as a cultural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과정
Ⅲ. 프로그램 설계
Ⅲ. 프로그램 개발
Ⅳ. 프로그램 적용
Ⅴ. 프로그램 평가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