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괄적 학교-기반 신체 활동 프로그램(CSPAP)에 대한체계적 문헌 분석
이용수 131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School-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진형(Lee, Jin-Hyeong) 백준형(Baek Jun-H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7권 제2호, 95~1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포괄적 학교-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Comprehensive School-based Physical ActivityProgram) 관련 해외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교 체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10년부터 2021년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과 학위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물은 Cochrane 연합에서 제시한 평가 도구(Risk of BiasTool)를 기반으로 비뚤림 영역을 평가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CSPAP의 각 구성 요소별 세부 활동,CSPAP의 적용 효과 및 시사점이란 두 가지 영역으로 재구조화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학교-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CSPAP)이 다중 구성요소 접근 방식으로 적용되며 양질의 체육교육과 학교 일과 중신체활동 통합 요소가 프로그램의 핵심적 요소임을 발견했다. 둘째, CSPAP 적용이 학생들의 신체활동량과 수업 중과제 수행 행동을 증가시켜 학업 성취 지표와 긍정적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CSPAP 적용 효과에 관한상반된 결과들을 고려하여 단위학교의 자율체육 프로그램을 책임지고 운영할 CSPAP 신체활동 리더의 역할과 그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SPAP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학교관리자, 행정가, 체육 및 교실 교사, 대학 교수 및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CSPAP 관련 연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ies related to Comprehensive School-based PhysicalActivity Program(CSPAP) through systematic review. Studies including published journals, dissertations, andtheses from 2010 to 2021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y evaluatingthe area of bias based on the Risk of Bias Tool presented by the Cochrane Coalition. The results werereconstr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CSPAP and its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found that the school-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is applied by a multi-component approach andthat quality physical education and the integration of physical activity during school days were the keyelements of the program. Second, the application of CSPAP increased students on-task behavior and was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hysical activityleader who is responsible for and operates the CSPAP as an autonomous sports program of the unitschool is important for successful CAPAP implementation. To successfully implement in schools in Korea,a case study for CSPAP program development is required. For this, CSPAP-related training for schooladministrators, administrators, physical education and classroom teachers, university professors andpre-service teachers was suggested.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a study on how the physical activityleader in charge of operating the CSPAP program in school affects the physical activity of students is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