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포츠혁신의 정책적 담론 분석
이용수 49
- 영문명
- Analysis of policy discourse on sports innovation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유재구(Yu, Jae-Gu)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2권 제3호, 2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혁신에 대한 정책적 담론 분석을 실시하여, 스포츠 혁신의 실천적 담론을 이해하는데 있다. 담론 내용의 범위는 거시적 차원의 스포츠 혁신의 정책적 함의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조적으로 사회 자본이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고, 스포츠의 사회 자본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사회 자본으로써의 스포츠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는 담론구조를 설정하였다. 끝으로 스포츠 혁신의 담론내용을 중심으로 법 제도적 개선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자본은 규범, 신뢰, 참여 등의 하위 개념으로 설명되는 경향이 있으며, 국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포츠는 사회 자본으로써의 특징으로 시민주도성, 사회적 권리, 미디어 연결성이 있다. 셋째, 스포츠 혁신의 정책적 함의는 스포츠에 내재된 헤게모니가 사회적 가치에서 개인의 기본권 가치로 바뀜을 의미하며, 이는 정책가치가 정치적 주도에서 시민적 주도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넷째, 스포츠 법 제도적 측면에서 스포츠기본권을 포함한 법의 개정과 구체적인 운영 제도의 정비가 요구된다. 스포츠의 사회 자본으로서의 가치는 국가 정체성과 정책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 담론으로써 스포츠의 기본권이 시민을 위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스포츠혁신이 국가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정책적 함의를 고려하건데, 스포츠 혁신의 실천을 위하여 스포츠 기본권을 포함한 법 제도의 재정비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actical discourse by analyze policy discourse on sports innovation. The scope of the discourse explain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sports innovation on the macroscopic level.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national identity structurally,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as a social capital are explained. The research was set up a discourse structure to examine policy implications by Explaining the impact of sport as a social capital on national identity. Lastly, the law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discourse on sports innovation. The core result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tends to be explained by sub-concepts such as norms, trust, and participation, it has effect on national identity. Second, sport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 social capital such as citizen-led, social Rights, and media connectivity. Third, the policy implication of sport innovation implies that the hegemony inherent in sport is changed from social value to individual s basic rights value, this means that the value of the policy changes from the political leadership to the civic leadership. Fourth, in terms of sports law and institutional system, it is required to amend the law, including basic sports rights, and to revise the specific operating system. The value of sports as social capital affects national identity and policy settings, As a discourse, the basic rights of sports should be emphasized by citizens. Considering the impact of sports innovation on national ident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practice sports innov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legal system including basic sports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사회 자본의 국가정체성에 대한 영향력
Ⅲ. 스포츠의 사회 자본적 성격
Ⅳ. 스포츠혁신의 정책적 함의
Ⅴ. 스포츠 혁신의 법 제도적 방향성 논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일 「반도핑법(ADG)」상 도핑범죄체계에 관한 연구
- 공연예술분야 기술지원 표준계약서의 도입 필요성과 한계
- Legal Challenges to AI・Big Data Utilization
- 체육인 일자리 확대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
- 평창 동계올림픽경기장 관리 위・수탁 운영을 위한 법제도적 검토
- 국민체육진흥기금 지원 효율화를 위한 보조금 법제도 개선방향
- 중국에 있어서 스포츠 Integrity 보호를 위한 법규제의 현황과 개선과제
- 헌법상 저작권과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연구
- 골프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법적 연구
- 스포츠혁신의 정책적 담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2 Contents
- Research on the Innovative Practice and Optimisation Path of Microclass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Birth of the “Internet Hippies”: Chinese Youth Sub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Mirror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