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법상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관리
이용수 37
- 영문명
- Etude sur l’administration des parties communes en copropriété en droit français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이지은(LEE, JI EUN)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64호, 517~55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ette article a pour objet d étudier l’administration des parties communes en copropriété en droit civil français, Concernant surtout la loi du 10 juillet 1965 fixant le statut de la copropriété des immeubles bâtis. La copropriété immobiliere n’est ni une propriété pure et simple, ni un régime d’indivision, ni un demebrement de la propriété. la copropriété des immeubles bâtis est le régime juridique de tout immeuble batie ou groupe d’immeubles bâtis dont la propriété est repartie, entre plusieurs personnes, par lots comprenant chacun une partie privative et une cuote-part de parties communes. Cette forme d’approriation est complexe en raison des distinction qu’elle implique entre differentes composantes de l’immeuble (parties privative, parties communes). Pour resourdre ce probleme, les legislateurs en France ont enumere des criteres plus détaillés dans la loi du 10 juillet 1965. Et dans un effort législatif successif pour protéger les parties communes contre indifférence des copropriétaire, et pour rationaliser des système décisionnel des copropriétaire, les articles suites de l’article 26 present les trois catégories des travaux sur les parties communes. On a vu ci-dessus les exemples abondants sur les difference entre les parties privatives et parties communs, et aussi système décisionnel de l assemble générale quant il y a des travaux qui affectent les parties communes. ça nous suggérai plusieurs solutions concernant l’amenagement des parties communes en droit corée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프랑스법상 집합건물의 관리 주체와 그 대상
Ⅲ. 프랑스법상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관리 - 우리 집합건물법 제15조의 해석과 관련하여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ISG에서의 본질적 계약위반의 확정
- 개정신탁법상의 유언대용신탁에 관한 소고
- 프랑스법상 집합건물 공용부분의 관리
- 신탁법상 자기신탁에 관한 연구
- 은행의 착오로 인한 자금이체의 효력
- 메이지민법상의 변제자와 변제수령자
- 일본 메이지 민법과 우리 민법에 있어서 손해배상 규정에 관한 비교연구
- 메이지시대의 연대채무개념의 형성
- 지명채권양도의 대항요건에 관한 일본민법 규정의 연혁 小考
- 집합건물 관리단의 기관
- 흡연금지와 임대차
- 老朽化된 공동주택의 終末期에 있어서의 구분소유권 終了제도 입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보증인과 후순위저당권자 간의 변제자대위
- 집합건물법상 하자담보책임규정의 개정 필요성과 그 성과
- 미국법상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 구상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