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소 특정적 공연에 나타난 수행성 연구와 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탐구

이용수  214

영문명
A study about performativity of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a suggestion about educational possibility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박나훈(Na-Hoon, Park)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6권 제1호, 95~1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소 특정적 공연은 기본적으로 관객의 수행성을 수반하며 공연예술의 다양한 현상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2년도에 공연된 잃어버린 혹은 잊혀진 작품과 2010년 덴마크 밀렐럼 축제(Mellemrum Festival)의‘Trailer’를 통해 최근 활발하게 제작되는 장소 특정적 공연에 내재한 수행성을 연구하고 나아가 작품에 나타난 수행성이 교육적 관점에서 어떻게 발현될 수 있는지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 에리카 피셔-리히테의(Erika Fischer-Lichte) 『수행성의 미학』(2017) 수행성의 원리 중역할 바꾸기, 공동체, 접촉이라는 세 가지 분석 관점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작품 전반에 내재하는 행위자와 관객의 수행성을 연구하고 나아가 이탈리아 Operaestate“축제의 전시 교육의 사례를 통해 수행성이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로서는 수직 형태와 수평 형태의 장소 특정적 공연의 수행성이 관객의 육체라는 매체를 통해 몰입과 해체를 유도하는 환경적 요인으로서 작용한다는 점, 나아가 수행성 미학의 원리로서 역할 바꾸기 원리가 관객의 공연 주체로서의 변화, 공동체 원리가 산책과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그리고 접촉원리가 관람 행위의 방법론 중의 하나로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Operaestate 축제는 관객의 역할을 확장 시킨 사례로서 앞선 두 작품의 성격을 모두 내재하고 있으며 교육적 가능성으로 확장되는 데 있어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inherent in venue-specific performances. Therefore, through Lost or Forgotten work performed in 2012 and Trailer of the Danish Millemrum Festival in 2010, we study the performance and further study how the work s performance can be extended to an educational perspective. As a research method, Erika Fischer-Lichte s 『Aesthetics of Performance』(2017) Principles of Performance The three analytical viewpoints of role change, community, and contact are used as research methods. Furthermore, we study actors and audiences performance in work and examine how performance functions as an educational methodology through exhibition education at the Italian Operaestate festival. This study shows that the three principles of performance aesthetics are implemented through the audience s body as a work tool. In particular, the Operaestate festival reveals the aesthetics of performing well in exhibition education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being extended to an educational methodolog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에리카 피셔의 수행성 원리
Ⅲ. 작품 ‘잃어버린 혹은 잊혀진’의 수행성 연구
Ⅳ. 작품 Trailer 연구
Ⅴ. Operaestate 축제 전시 사례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나훈(Na-Hoon, Park). (2021).장소 특정적 공연에 나타난 수행성 연구와 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6 (1), 95-118

MLA

박나훈(Na-Hoon, Park). "장소 특정적 공연에 나타난 수행성 연구와 교육적 가능성에 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6.1(2021): 95-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