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적 징후와 정규 교환에 의한 말초정맥관 교환이 정맥염과 혈류감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12
- 영문명
- Influence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Exchange on Occurrence of Phlebitis and Bloodstream Infection in Adult Patients: Routine Versus Clinically Indicated Replacement
- 발행기관
-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 저자명
- 윤지선(Yun, Ji Seon) 김은옥(Kim, Eun Ok) 서유선(Seo, Yu Sun) 고은아(Koh, Eun Ah) 이수열(Lee, Su Yeol) 장주희(Jang, Joo
- 간행물 정보
- 『근거와 간호』제4권 제1호, 23~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current evidence based practice on peripheral venous catheter replacement. Methods: After ethics approval, 140 patients (480 intravenous devices) were enrolled in our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frequency analysis, χ2 square, Fisher’s exact test,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using SPSS 21 program. Results: First, the average number of inserted peripheral venous cathet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7 (3.0 in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days of maintenance of the peripheral venous catheters was 3.0 days (1.8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maximum maintenance day of the peripheral venous catheter was 8 day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phlebitis and bloodstream infe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risk of phlebiti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harply from the 6th day after insertion of peripheral venous catheter.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peripheral venous catheter replacement by clinical signs is recommended, and after 6 days, side effects should be carefully observed. We propose an ite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clinical signs on peripheral venous catheter replacement by expanding the number of patients.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