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업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을 판별하는 변인1)
이용수 13
- 영문명
- Discriminating Variables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나승일(Seung-IL Na) 마상진(Sang-Jin Ma)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7권 제4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discriminati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Data for the study were from the data of the 2004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panel data were collected from 2000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2000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classroom teachers on education and employ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The specific statistical technique used was discriminant analysis. An alpha level of .05 was established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loratory study, it was concluded that : (1) students who enrolled in academic high school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ose who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by a set discriminating variables except for gender, perception of school life, perception of school facilities, living with a guardian or not, and study-efficacy of the music, fine arts and physical ; (2) students who enrolled in academic high school could best be best described as educational aspiration, college entrance plan after graduation, study-interest in language arts, english and social studies; (3) students who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 could best be described as work experience and employment plan after graduation; (4) the discriminant function explained approximately 38% of the variance in the discriminant scores; and (5) the discriminant function correctly classified 79% of the ca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맑고 푸른 지구를 위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e-Learning 콘텐츠 개발
-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 신설 이후 농업계 고등학교 운영 실태 분석
-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e-Learning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가족관련변인과 진로성숙간의 관계분석
-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를 통한 직업기초능력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안
- 대학 교과목 연계형 학습공동체 구축 모형 개발
- 실업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을 판별하는 변인1)
- 후기농촌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의 귀인과 직업몰입과의 관계분석
- 한국농촌계획의 전개와 농촌인구의 변화
- 통합교육을 위한 농업교사의 특수학생 지도능력과 교육 요구
-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발명교육 내용 분석
-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 구조분석
- 농업환경교육의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방안 연구
- 농어촌청소년의 정보소외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농업계 고등학교 전공코스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