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 적용된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분석
이용수 669
- 영문명
- Analysis of Musical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inking Competency Applied to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acher s Guidebook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유근혜(Geunhye Yu)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0권 제1호, 81~1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 적용된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및 창의⋅융합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창의⋅융합적인 사고 계발을 위한 음악교육의 방향 및 학습 활동을 고찰하였 다. 이를 위해 음악과 교육과정의 영역, 기능, 성취기준, 음악 요소, 연계 교과를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여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 적용된 창의⋅융합 사고 역량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역, 기능, 성취기준 모두 ‘음악 만들기’의 적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악기 연주하기 및 생활화와 관련된 창의⋅융 합 활동의 빈도가 낮아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였다. 또한 음악 형식과 창의⋅융합 사고 역량의 연계 지도방안과 예술 교과 외에 타교과와의 연계 지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ed the direction and learning activities of music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by analyzing musical creativity convergence thinking competency and the aspect of creativity convergence activities applied to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guidebooks. To this end, the frequency of creativity convergence thinking competency applied to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guidebooks was analyzed by setting the areas, functions, achievement standards, music elements, and related subjects of music curriculum as analysis criteri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of ‘making music’ was the highest, and the frequency of creativity convergence activities related to playing instruments and everyday life was low, so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developing lesson plan on linking musical form and creativity convergence thinking capacity and also on relating with other subjects other than art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음악 교과의 창의⋅융합 교육 및 창작 활동
Ⅲ. 중학교 음악 교과서 창의⋅융합 사고 역량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 적용된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분석
- 일본 음악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일본 전통음악교육의 현황
- 초등학교 음악 만들기 활동으로서 음악개념 중심의 노랫말 바꾸기
-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다문화 음악의 신체표현 지도방안 연구
- ‘즐거운 생활’ 교과의 음악 활동 수업 사례 및 교사 인식 분석
- 바디퍼커션의 음악수업 활용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음악교육 방향에 관한 철학적 고찰 - 발터 벤야민의 매체미학에 의거한 교육적 소고 -
- [음악교육동향] 교사 직무연수 보고서 2020 ‘교실에서 바로 쓰는 흥미진진 음악 수업 활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