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비대면 자기주도 학습-평가 접근
이용수 208
- 영문명
- An Approach of Self-directed Learning & Self-assessment in Non-face-to-fac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재근(Lee, Jaekeun)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34호, 5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ddresses one of the critical issues of how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assessment in Non-face-to-fac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under covid-19 pandemic. Several teachers’ viewpoints were suggested and discussed a model of self-evaluation related to Non-face-to-face self-directed learning. As pointed by 이재근(2020a), schools have been managed with various knids of classes of Non-face-to-face way or not, such as a form of video conferencing or distance learning based on online educational systems. As a result, the problem was revealed that students did’t get such their learning advantages as they achieved in an usual and normal learning classroom because they didn’t get closely instructed or managed by professional teachers in school. Half instruction, half learning. Without their teacher’s care, they did’t get not so much effective learning results. Consequently, they need a learning caretaker for their learning stages of checking out their performances in before class-during class-after class.
목차
Ⅰ. 비대면 초등영어 자기주도 학습활동
Ⅱ. 비대면 자기주도 학습활동에 관한 초등교사의 접근들
Ⅲ. 초등영어교육에서 비대면 자기평가 방안
Ⅳ. 맺으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