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물매개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대인관계, 언어 및 행동에 미치는 사례연구
이용수 606
- 영문명
- A Case Study of Animal-Assisted Therapy on the Human Relationships, Language Use, and Behavioral Interactions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보건기초의학회
- 저자명
- 정순미(Jung, Soon-Mi) 서병부(Seo, Byoung-Boo) 김충희(Kim, Chung-Hui)
- 간행물 정보
-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제13권 제2호, 127~13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at analyzed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AAT) on a 5-years-old male child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lass II. To verify the analysis, the Korean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Second Edition (K-SCAR 2),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autism, and the EHWA – Check List for Autistic Children (E-CLAC) scale, which is a behavioral development evaluation scale, were used. The AAT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2 sessions, for 5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12 weeks. As a result of the therapy, the autistic child showed increases in the frequency of word use along with increased language use and behavioral interactions. A K-SCAR 2 test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ild’s autistic condition had improved from severe autism to moderate autism bordering on minor autism. The E-CLAC indicated that the ability of the child to socially interact had improved as his human relationships were improved and the frequency of language use had increas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when AAT was implemented with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level of autism was lowered, while his human relationships improved as well as his language and use behavioral interactions.
목차
서 론
사례 개요
동물매개치료 결과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수행 자신감
- 상업용 사료 급여 반려견 배설물에서 배양된 장내 미생물의 분류
- 후천적 뇌손상환자에게 적용된 몰입형 가상현실재활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해외투고논문 중심으로
- 동물매개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대인관계, 언어 및 행동에 미치는 사례연구
- 운동학습이 소뇌손상 후 운동능력 및 신경연접 가소성에 미치는 영향
- 감각통합운동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과 기능적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및 극복력 간의 관계
- 간호사의 감성지능,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고삼 및 비트루트(Beta Vular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 가압운동을 이용한 안정화 운동이 배근육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 태아 혈액에서 MMP-8 생성에 미치는 LPS와 TPCK 자극의 효과
- 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 증진을 위한 습관전환 치료의 사례연구
- 간호대학생의 원격교육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Characteristics of imported and domestic malaria cases in Gyeonggi Province, Korea
- Levels of exposure markers among residents in environmentally vulnerable areas in Korea, the general population in Korea, and Asians in the United States
- Risk of non-cancer respiratory diseases attributed to humidifier disinfectant exposure in Koreans: age-period-cohort and differences-in-difference analy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