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대생의 분노, 자기효능감, 식이태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9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Anger, Self-Efficacy, Dietary Attitude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 발행기관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저자명
- 김선정(Sun-jung Kim) 박수진(Su-Jin Park)
- 간행물 정보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10권 4호, 69~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년기 여성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분노, 자기효능감, 식이태도,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조사하고,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분노와, 자기효능감, 식이태도의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돕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및 K도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만18세 이상의 여학생 211명이며, 자료분석은 S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분노는 자기효능감(r=-.133, p=.027), 식이태도(r=.200, p=.004), 건강증진행위(r=-.153, p=.026)와 자기효능감은 식이태도(r=-.170, p=.013), 건강증진행위(r=.229, p=.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수정된 결정계수(Adj R²)는 .385로 모형의 설명력은 38.5%이었다.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은 식이태도(β=-.455,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gree of anger, self-efficacy, dietary attitud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s the effects of anger, self-efficacy and dietary attitude toward health promotion behavior to help female college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attempt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1 female students aged 18 or older i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K metropolitan c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rrected coefficient determination was .385,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8.5%.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dietary attitude(β=-.455, p<.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program that can strengthe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팀 성과 향상을 위한 팀 지도자의 지식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글로벌 IT 기업 직원의 단체지향적 성향, 선제적 시민행동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 여대생의 분노, 자기효능감, 식이태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방과후 돌봄교실 운영 사례 연구
- 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역할
- 코로나 팬데믹 하에서 진지성여가가 삶의 질에 끼치는 영향
- 산업체 연계형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창의적 학습경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공감과 대인관계 증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2 Contents
- Research on the Innovative Practice and Optimisation Path of Microclass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Birth of the “Internet Hippies”: Chinese Youth Sub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Mirror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