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크라테스 교육방법의 구성주의적 접근
이용수 205
- 영문명
- Socratic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문(Young-Mun Lee)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111~13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구성주의는 학교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교육의 연구에 있어서 매우 유행하는 용어가 되어 있다. 구성주의의 핵심은 ‘지식은 구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지식이 구성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현대의 많은 구성주의자들은 지식의 절대성을 부정하고 상대성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교육은 학생들에게 올바른 삶의 방식을 가르쳐야 하기 때문에 삶의 기준을 내포하는 지식의 절대성을 포기할 때 올바른 교육을 시행하는 일이 가능하지가 않다. 흔히 소크라테스는 학습자에 의한 지식의 구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구성주의 교육을 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지식의 상대성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는 지식의 절대성을 받아들이면서도 학습자에 의한 지식의 구성을 이끌어나가는 교육방법을 구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알아보고, 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the essence of Socratic education by analysing the process of Socratic dialogue with regard to constructivism. Nowadays, constructivism is a very prevailing term in schools as well as educational research. The core of constructivism is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by learners. But, then, what does it mean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Many constructivists deny the absoluteness of knowledge. They accept the relativity of knowledge.
But a true education is not possible when we do not accept the absoluteness of knowledge because education must teach children a right way of life which suggests criteria of life. Socrates puts emphasis o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by learners. But he does not accept the relativity of knowledge. This study shows how this is possible.
The ultimate purpose of Socratic education is that people must find the truth of life and the truth of life is based on the idea of good which is the cause of truth. The idea of good is not decided in advance. It is revealed when people pursue the truth of life by eliminating the wantonness which is called hybris. The process which people try to find the ultimate knowledge of life is possible only by their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term constructivism has this meaning when we call Socratic education a sort of constructivism.
목차
Ⅰ. 연구 문제
Ⅱ. 소크라테스 교육 방법의 탐색
Ⅲ.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과 지성
Ⅳ. 소크라테스의 교육방법과 구성주의의 관련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