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자생 갈매나무과 식물의 항산화 및 면역반응조절 효과 탐색
이용수 11
- 영문명
- Antioxidant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of Korean Rhamnaceae
- 발행기관
- (사)한국식물생명공학회
- 저자명
- 어현지(Hyun Ji Eo) 김다솜(Da Som Kim) 강연경(Yeongyeong Kang) 김기윤(Kiyoon Kim) 박영기(Youngki Park) 박광훈(Gwang Hu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47권 3호, 254~25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e studied the antioxidative and immunoregulatory properties of 70% 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branches, and fruit of 13 species of the Rhamnaceae collected during the bearing season (Berchemia berchemiifolia, Berchemia floribunda, Hovenia dulcis, Paliurus ramosissimus, Rhamnella franguloides, Rhamnus crenata, Rhamnus davurica, Rhamnus koraiensis, Rhamnus parvifolia, Rhamnus ussuriensis, Rhamnus yoshinoi, Sageretia thea, and Ziziphus ujub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values were determined using calibration curves of gallic acid and rutin, respectivel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antioxidative potential.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studied using the nitric oxide (NO) inhibition assay in LPS-induced RAW264.7 cells. Extracts of Berchemia berchemiifolia, Sageretia thea, and Ziziphus jujuba had the highest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values. Extracts of Berchemia berchemiifolia, Paliurus ramosissimus, Rhamnella franguloides, and Sageretia thea ha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erchemia berchemiifolia and Sageretia thea ha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urthermore, extracts of Berchemia berchemiifolia, Berchemia floribunda, Paliurus ramosissimus, Sageretia thea, and Ziziphus jujuba showed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inhibition of NO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hamnaceae extracts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and immunomodulator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gulation of hormone-related genes involved i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sweetpotato
- ‘매향’ 딸기의 조직배양 시 coconut water 처리에 따른 기내 증식효율 향상
- 국내 자생 갈매나무과 식물의 항산화 및 면역반응조절 효과 탐색
- 모링가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파이토케미컬 함량
- 유전자교정작물 내 비의도적 돌연변이의 안전성 논란에 관한 과학적 고찰
- A TMT-based quantitative proteomic analysis provides insights into the protein changes in the seeds of high- and low- protein content soybean cultivars
- Antifreeze proteins promote the germination of low temperature-treated petunia seeds via regulation of antioxidant- and proline-related genes
- 유전자 단위 haplotype을 대변하는 토마토 Tag-SNP 선발 및 웹 데이터베이스 구축
- Micropropagation from root segments to improve seedling quality in Chinese foxglove crops
-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 벼 현탁 세포주에서 miraculin 단백질의 생산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Morphological Variation of F2 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var. frutescens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8권 제3호 목차
- Immature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Ethanol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Kinase in 3T3-L1 Preadipocyt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