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주의 관점의 한국 사회통합정책의 발달과정에 대한 고찰
이용수 1,438
- 영문명
- Analysi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Viewed in Multiculturalism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임은의(Yim, Eun Eui)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11권 제2호, 65~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금 한국은 매년 결혼이주여성을 비롯한 외국인 근로자들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주민의 다양성을 어떻게 관리하고 국가적 통합을 유지해 갈 것인가의 문제는 정부의 중요한 정책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다양한 법ㆍ제도를 마련하여 내국인과 이주민의 사회적 갈등을 예방하고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문화사회통합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의 다문화와 연관된 사회통합을 위한 법과 정책을 살펴보고, 사회통합 관련 법과 정책의 발달과정을 통해 다문화주의의 이념 경로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한국의 사회통합정책은 몰문화주의적 다문화주의, 초문화주의적 다문화주의, 동화주의적 다문화주의, 초기단계의 다원주의적 다문화주의의 이동 경로를 밝아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사회통합 정책의 근간이 될 이념의 지향성에 대한 숙의와 합의점을 마련할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of foreign workers including married immigrant women every year in Korea, the issue of how to manage the diversity of immigrant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also to maintain the national integration becomes an important policy agenda of the government. Thus, in order to prevent and minimize social conflicts between citizens and immigrants, the government is actively leading the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policies by establishing various laws and system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laws and policies for social integration related to multiculture of Korea by utilizing the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and also to draw the ideological path of multiculturalism in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viewed in multiculturalism were developed from molecultural multiculturalism, transcultural multiculturalism, into the multiculturalism natured by assimilatism and pluralism in order. Based on this, this thesis presented th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the deliberations and agreements for the ideological orientation that could become the basis of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