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치매지식, 공감역량 및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이용수 335
- 영문명
- Formal Nursing Home Caregivers’ Dementia Knowledge, Empathy, and Burden of Care from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한영애(Han, Young Ae) 허혜경(Hur, Hea Kung)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2권 제3호, 216~22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nursing home caregivers dementia knowledge, empathy, and burden of care from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nd to identify the impact factors stemming from these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8 formal caregivers who worked in 12 nursing homes with over 50 beds located in G-do and C-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s of dementia knowledge, empathy, and burden of care from BPSD were 0.70±0.13, 3.87±0.43, and 2.49±0.64, respectively. The burden of care from BPSD negatively correlates with dementia knowledge (r=-.58, p<.001) and empathy (r=-.48, p<.001). The factors impacting formal caregivers’burden of care from BPSD were dementia knowledge (β=-.46, p<.001) and empathy (β=-.28, p=.003),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9.0%. Conclusion: Dementia knowledge and empathy are factors impacting formal caregivers’ burden of care from BPS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education or programs to improve dementia knowledge and empathy to reduce formal nursing home caregivers’ burden of care from BPSD.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치매지식, 공감역량 및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에 대한 태도, 공감, 행동심리증상 부담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의 여가 시간 좌식활동 관련요인 차이
- 장기요양시설에서 치매 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대한 경험
- Factors Influencing Nursing Home Accreditation-Quality Ratings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응급실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를 위한 인간중심 치매케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노노케어(老老-care)사업 참여노인의 돌봄제공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