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를 위한 인간중심 치매케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이용수 71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Home Staff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공은희(Kong, Eun-Hi)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2권 제3호, 247~2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on Korean nursing home staff. Methods: The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evaluated using cluster-randomized, single-blind, and controlled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62 nursing home staff (3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in the control group) from four nursing hom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the education program.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Results: The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comprised two sessions (one classroom-based education and one online education). Staff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toward the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taff’s personhood in dementia (F=4.53, p=.03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taff’s person-directed care (F=1.61, p=.209), person-centered climate (F=0.22, p=.644), attitude towards dementia (F=3.51, p=.066), and knowledge about dementia (F=0.55, p=.461).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person-centered dementia care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staff’s personhood in dementia.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 program’s effects in other dementia care settings and on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using more rigorous research method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치매지식, 공감역량 및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에 대한 태도, 공감, 행동심리증상 부담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노인의 여가 시간 좌식활동 관련요인 차이
- 장기요양시설에서 치매 노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대한 경험
- Factors Influencing Nursing Home Accreditation-Quality Ratings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Dysfunction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응급실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를 위한 인간중심 치매케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노노케어(老老-care)사업 참여노인의 돌봄제공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