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율형 사립고 등장 배경 분석 - 고교 평준화 비판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91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김유연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20년 하계학술대회, 13~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8년 자율형 사립고(이하 자사고) 정책 발표를 가능하게 했던 담론적 배경을 분석한다. 교육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강조했던 고교 다양화 300 정책이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 고교 평준화 비판 담론이 작용했다고 보고, 2007년 보수 언론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 평준화 비판 담론은 ‘정부 비판’, ‘수월성 교육’, ‘사학법 재개정’ 담론들로 나눠볼 수 있었다. 정부 비판 담론에서는 “좌편향적 교육관”을 가지고 있는 정부의 교육정책이 “하향 평준화”를 부추긴다고 기정사실화하고, 17대 대선 국면에서 고교 평준화 제도를 “리트머스 시험지”로 은유하는 전략을 취했다. 수월성 교육 담론은 외국 교육정책 사례와 비교하면서 고교 평준화 제도에 대한 위기감을 조장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수월성 교육을 ‘반드시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을 보여야 하는 불가피한 진행과정(Fairclough, 2003)’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사학법 재개정 담론에서 기독교 사학재단들은 노무현 정부의 사학법 개정안이 기독교 교육의 “정체성 위기”를 가져온다고 반발하며 고교 평준화 제도를 공공의 적으로 지목하였다. 자사고는 이렇게 형성된 고교 평준화 비판 담론의 지형 위에서 출현의 당위성을 부여받게 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한사회변화에 따른 고등교육정책 변화 방향 분석 : 김정은 시기를 중심으로
- 2020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 온라인 담론 분석
- 자율형 사립고 등장 배경 분석 - 고교 평준화 비판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 전형(typification)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접근 : 학교평가에서 총합 혹은 평균 지향성 탐구
- ‘교차성(intersectionality)’의 렌즈로 본 여학생 간 차이로 젠더 해체하기: 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학업무기력의 구조적관계에 대한 다중집단분석
- 대학생 진로탐색 및 진로의식의 영향요인 분석: 학생참여의 성장궤적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