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276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b-based Backward Design Instructional Program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Integr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한경화(Han, Kyung-Hwa) 한경임(Han, Kyung-Lm)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0권 제2호, 313~34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내용은 세 가지로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도출,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만족도 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본 연구내용 1의 참여자는 15명의 특수교사로 포커스그룹 면담이 실시되었다. 연구내용 2의 참여자는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타당도 점검을 위한 특수교육 전문가 10명과 프로그램의 데모버전에 대한 타당도 점검을 위한 30명의 특수교사들이었다. 연구내용 3의 참여자는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를 위해 300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5단계 기반의 10개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구성요소에 대한 타당도는 높았으며, 프로그램의 데모버전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편이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였고, 편리하다고 하였다. 특히, 교육과정 재구성, 학기별, 월별 목적과 목표 설정, 학생들의 수행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국어와 수학 이외 다른 교과의 교육과정 재구성-수업-평가 일체화 프로그램 개발과 특수교육 수업설계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Backward design instructional program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integration. The study was to be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first is to elicit components of the program,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program and the third is to research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program. Method: First, participants for the first part were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tudy design was focus group interview(FGI). Second, 10 specialists particip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mo program. Third, 3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to research satisfaction on the program. Results: First, 10 components based on 5 levels were elicited through the result of FGI. Second, the validity on the 10 components of the program was high by scores over 4.20 of Likert 5 scale. The validity on demo program was over 4.00 of Likert 5 scale.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a high satisfaction on the program about curriculum re-constructon, design for goal and objective, design for instruction for months and semaster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students. Conclusion: This results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other subjects except language and math and for instruction design of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의 방향성 탐색
- 청각장애학교에서 수학한 청각장애대학생의 정체성 연구
- 대학원생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 학술지-연구자 관계를 통한 평생교육 학술연구 생태계의 불평등성 분석
- 미셸 푸코의 파레시아(Parrhesia) 실천을 적용한 토의·토론 모델의 전략적 탐색
-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포괄형 ICF Core Set 개발
- 초등학생의 읽기 어려움의 이질성 연구
- 장애아동 권리에 관한 뉴스 기사의 토픽모델링 분석
- 대학강의에 대한 학기중간평가 실시 사례와 시사점
- 수동적 이러닝 학습자 지원을 위한 대리적 상호작용 이러닝 설계 전략 개발
- 통합 환경에서 장애 영아를 위한 교육과정과 지원체계 실태 및 요구
- 보육교사가 경험한 어린이집 조직문화 탐구
- 초·중학교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 형성
- 특수교육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위한 웹기반 백워드 수업 설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