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사이의 종단적 관계
이용수 235
- 영문명
-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in people with hearing loss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정승원(Jeong, Seung Won) 최희철(Choi, Hee Cheol)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30권 제1호,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우울 증상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조사의 장애인 부가조사로 수집된 9차, 12차 자료에서 사회적 지지와 우울 증상 변인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청각장애인의 수는 136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변인의 구인 타탕도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모형은 RMSEA와 CFI 값이 각각 .055와 .988로 나타나 자료에 적합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자기회귀 효과와, 두 변인 간의 교차지연 효과를 나타낸 구조모형은 RMSEA와 CFI는 각각 .055와 .985의 값을 보여 자료에 적합하였다. 셋째, 선행시점의 사회적 지지는 후행시점의 우울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넷째, 선행시점의 우울 증상은 후행시점의 사회적 지지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다섯째, 선행시점의 사회적 지지는 후행시점의 사회적 지지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여섯째, 선행시점의 우울 증상은 후행시점의 우울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를 증진하고, 우울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people with hearing loss. Data came from the 9st and 12th waves collected in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136 people with hearing loss. This study employ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LM) to test autoregressive effects of within-variables and cross-lagged effects of between-variables. Results were in the following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fit data well. Second, the structural model fit data well. Third, social support in previous time point predicted subsequent depressive symptoms. Fourth, depressive symptoms in previous time point predicted subsequent social support. Fifth, social support in previous time point didn’t predicted subsequent social support. Sixth, depressive symptoms in previous time point predicted subsequent depressive symptoms. The authors discussed about efficient alternatives to increase social support and to decrease depressive symptoms of people with hearing lo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