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학교 특수교육지도사의 역할 수행 시 경험하는 어려움
이용수 142
- 영문명
-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Difficulties in Performances their Roles in the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계숙(Choi, Kye-sook) 정은희(Jeong, Eu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1권 제1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도사가 지적장애학교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특수교육지도사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분석과정을 거쳐 3개의 대범주로 나누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욕구 지원 시 어려움은 학생의 각종 행동 문제에 대해 응급 처방식 해결을 하고 있는 상황, 자율성 제한, 성이 다르고 체격이 큰 학생의 용변지도, 편의상 업무 위주로 지원하는 것 같은 심적 갈등이 있었다. 둘째, 교수-학습활동 지원 시 어려움은 학생의 행동 문제와 교육적 처치에 대한 전문성 부족, 역할 지시 부재, 교사별 지도 방법의 상이함, 환경 변화에 따른 학생의 행동변화, 개인적 시간이 없는 근무환경이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 지원 시 어려움은 문제 행동에 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여 사고 상황에 놓이게 되는 정신적․육체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개선 요구 사항으로는 교사와 지도사, 부모 간 일관성 있는 지도방안, 명확한 업무 지침, 협력적 의사소통을 위한 협의회 구성, 현장중심연수 확대, 부상에 대한 실제적 보장 등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rviewed 8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to find out the specific difficulties tha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face in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Interview contents were divided into 3 big categories.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There were mental conflicts such like situations of doing first-aid settlements rather than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all kinds of students’ behavioral problems in relaction with difficulties in supporting personal demands, making inquires about even small things without autonomy of the teacher in charge, toilet training of students having large builds and different gender, students accompanying with sex-related behavioral problems, and supports by focussing on duties. Seco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clude student behavioral problems, lack of expertise in instructional treatment, lack of role instruction, different teaching methods for each teacher, changes in student behavior due to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and a work environment without personal time. Lastly, the difficulty in supporting problem behaviors was the mental and physical difficulties that led to injuries and accident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problem behaviors. Improvement requirements included consistent guidance among teachers,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and parents, clear work guidelines, councils for collaborative communication, more on-site training, and practical guarantees for injur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