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위한 MANTRA적용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929
- 영문명
- A Case of Art Therapy using MANTRA for Patient Diagnosed with Anorexia Nervosa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권젬마(Kwon, Gemma) 안정아(An, Jung-Ah) 이은혜(Lee, Eun-Hea)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16권 제1호, 271~3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영국 보건의료치료지침의 MANTRA (The Maudsley Model of Anorexia Nervosa Treatment for Adult)를 적용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로 병리적 증상 호전과 정서적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대학병원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진단받은 만 33세 여성으로 연구적용기간은 2017년 11월 13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였다. 연구 결과 첫째, K-EDE를 통해 알아 본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변화는 4개 하위영역 모두 수치가 감소하여 병리의 심각성이 완화되었고, 특히 식사관심 척도와 체중관심 척도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둘째, K-BDI를 통해 알아본 우 울정서는 심각한 우울 상태와 중한 우울 상태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이며 우울감이 지속되었 고, STAI-X를 통해 알아 본 불안정서는 심각한 불안 수준에서 경한 불안 수준으로 호전되 었다. 셋째, MANTRA를 적용한 미술치료는 억압된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도록 도와주어 자신의 모순된 모습을 직면하게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회복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가 질 수 있게 도와주어 장기간 치료 유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emotional changes in art therapy case study applying the Maudsley Model of Anorexia Nervosa Treatment for Adult (MANTRA) of NICE guidance in adult patient with anorexia nervosa. The participant of the this study was a 33-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anorexia nervosa at P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period of this participant was from November 13, 2017 to December 30,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hological symptoms related to anorexia nervosa decreased in all four sub-regions of the K-EDE eating disorder assessment. In particular, eating concerns and weight concerns were significantly changed. Secondly, the participant’s emotional changes were shown in the form of continued depression that repeated through ranges of severe to moderate states through K-BDI. Through STAI-X, the participant’s emotional state changed from severe anxiety to mild anxiety. Third, art therapy applied MANTRA helped the participant to express suppressed negative emotions and confront her feelings of opposition and the self-contradictory aspects. The participant had a changed perspective on her recovery while being able to maintain and sustain a long-term treatment.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이론적 배경
1. 신경성 식욕부진증
2. MANTRA
III.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연구동의와 윤리적 고려
IV. 연구결과
1.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변화
2. 정서변화
3. MANTRA적용 미술치료의 단계별 요약과 변화
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표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의미 - 초등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 자아개념과 자기치유적 관점에서 본 빈센트 반 고흐의 자화상 작품분석연구
- 정서인식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
- 이완 음악감상이 유아교사의 부정 정서조절과 정서고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의 알아차림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음악 전공 유무에 따른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음악사용 전략과의 관계연구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 변화
- 상호작용 중심의 집단표현예술치료가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위한 MANTRA적용 미술치료 사례연구
- 신체적 상실을 경험한 여성암 환자의 애도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토론중심 연구윤리 교육이 예술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연구윤리 인식과 윤리적 태도에 미친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