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이용수  267

영문명
A Site-based Study on Analyzing Job Competencies of Kindergarte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엄문영(Eom, Moon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7권 제1호, 441~46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 기반하여 교사 및 관리자, 행정가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역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현장의 필요에 근거하여 유치원 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들과 이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과 심층면담, 개방형 설문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유치원 교사의 직무역량 요소와 제고 방안을 분석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역량 분석 결과는 2010년 교육부가 발표한 유치원 교사의 핵심 역량을 기준으로, 강조되어야 하는 역량과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추가로 드러난 역량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교원교육정책을 위한 시사점으로 1) 이상적 차원의 소명보다는 현실적 차원의 사례와 간접 경험 부여, 2) 상황론적 관점에서 기간과 구체적 경험 확대를 통한 실습교육 강화, 3) 이론과 실천의 연결을 통해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 4) 소명의식 강조와 자기 계발 기회 제공, 5) 놀이중심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체계적 연수 프로그램 실시, 6) 유치원의 체계적 학습조직화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job competencies of kindergarten teachers based on a site-focused perspective. The two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uch as job competency factors and development strategies were considered. As research methods, systematic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open-questionnaire survey were taken advantage of for achieving the purpose and solv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analyzing competency factors were classified as the two parts: 1) should be more emphasized job competencies based on the previously suggested key competency factor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0, 2) should be newly considered job competencies. For teacher education policy suggestions, the six following strategies were introduced: 1) not just forcing ideal mission, but giving the opportunities for realistic cases and indirect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2) strengthening practicum course by extension of practicum period and expansion of concrete experien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tingency theory, 3) supporting good teaching experience by connecting theory with practice, 4) giving opportunities to stimulate the sense of mission and self-development, 5) implement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activities focused Nuri-curriculum, and 6) leading kindergartens to a learning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문영(Eom, Moonyoung). (2020).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 (1), 441-463

MLA

엄문영(Eom, Moonyoung). "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2020): 441-4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