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이용수  1,174

영문명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and Home Variable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양길석(Yang, Kilseok) 옥현진(Ok, Hyounjin) 서수현(Seo, Soohyun)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0권 제1호, 199~2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리터러시는 미래사회 핵심능력의 하나로서 이에 대한 교육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리터러시는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능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육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히 주목한 부분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향상에 미치는 가정의 역할이다.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가정 변인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설문 문항들을 추출하고 기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100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변인의 일부 항목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적 영역 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선 이번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된 항목들을 중심으로 가정이 교육적 중재를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학습자 특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여 영향력 있는 가정 변인 항목들을 새로 발굴하고 그 효과를 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Digital literacy will be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deman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increasing. Literacy consis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abil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affective domain is emphasized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household in improving learners’ affec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Several items were selected as househol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igital literacy attitude was assessed with the Digital Literacy Attitude Assessment. A total of 1008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tudy found that some items among the household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some do not. The items empirically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by families of learners as par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foster digital literacy. Th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influential household variable items by analyz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more closely and verifying their effects through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길석(Yang, Kilseok),옥현진(Ok, Hyounjin),서수현(Seo, Soohyun). (2020).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교육논총, 40 (1), 199-222

MLA

양길석(Yang, Kilseok),옥현진(Ok, Hyounjin),서수현(Seo, Soohyun).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교육논총, 40.1(2020): 199-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