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3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장명희(Myung Hee Jang) 곽미선(Misun Kwak) 안주리(Juri Ahn)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39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Savickas & Porfeli(2012)의 진로적응모형과 Lent, Brown, & Hackett(1994)의 사회인지진로이론을 접목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모집한 대한간호협회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 ‘예비간호사 진로교육 프로그램’ 이수자인 간호대학생 10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차이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은 4점 전후의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교유형, 희망병원, 진로경험은 간호전문직관의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교유형, 희망의료기관에 따라 진로 관련 변인인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진로와 관련된 정규교과를 이수한 학생의 경우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진로상담을 경험한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졌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완전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avickas & Porfeli(2012)’s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and Lent, Brown, & Hackett(1994)’s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this purpose, technical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f 105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a preliminary nurses’ by Korean Nurses Associ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rsing profession, the career decision magnetic efficacy and the career preparation 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identified at a high level around four points. Second, the gender, age, type of school, desired medical institution., and career experienc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iffer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eer-related variables(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age, type of school, and desired medical institution. However, for those who completed career-related regular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career counseling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24 to 29 years old was high. Career readiness behavior in this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was found to be lower than 18-23 years. Fourth,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