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립유치원 임용시험 준비과정에서의 경험과 개선 요구
이용수 239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and their requests for improvement in the public Kindergarten recruitment exam prepar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남연(Kim, Nam-Yun) 김명정(Kim, Myoung-Jung) 문가영(Moon, Ga-Young) 신유정(Sin, Yoo-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임용시험을 준비하여 합격한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이 가진 의미를 밝히고 이에 따른 개선의 요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 임용시험 체제에서 합격한 공립유치원 교사 14명을 편의표집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시험 준비의 효율과 효과를 위해 학원 강의 수강, 스터디 모임, 개별 학습을 했으며 각각의 경험은 공부의 방향과 전략 모색, 정보 공유와 정서적 지지, 학습 효과 향상과 유아교육에 대한 가치관 형성 등 각기 상이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근거하여 국가 및 지자체 수준에서는 교사의 교육관과 인성, 자질을 평가하는 시험체제로의 변화와 평가의 객관성 확보를, 그리고 교원양성기관 수준에서는 임용시험 준비의 길잡이 역할과 정서적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립유치원 임용시험 체제의 개선 방향과 임용시험 준비생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exam preparation experiences for the public Kindergarten recruitment test and to investigate their requests for the system’s improvement. To this end, 14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passed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system were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lecture classes a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study groups, and individualized learning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ir test preparation. Each experience showed different meanings, such as seeking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learning, sharing information, emotional support, improving learning effects, and forming valu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participants requested for some important changes of current test system, including evaluating teachers’ educational viewpoints, personality, and qualities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nd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They also emphasized the important role of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at provides the candidates with emotional suppor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ublic kindergarten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and the social support plans for the candidat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