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 유역에 위치한 하구를 구성하는 하천의 저영향 개발 기간 산정
이용수 10
- 영문명
- Estim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duration of estuaries at urban area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정안철(Anchul Jeong) 임정철(Jeongcheol Lim) 김송현(Songhyun Kim) 백충열(Chungyeol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1권 제4호, 290~29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구는 하천이 개방해역과 연결되어 있어 담수와 염수가 만나는 전이지대로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고 독특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하구의 생태적 가치를 인식하기 전부터 다양한 훼손 및 교란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구를 구성하는 하천의 하천기본계획은 지속적인 교란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나, 수재해로부터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하천의 기능을 강화시켜 국가 수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공익적 목적이 있다. 따라서 개발과 생태계 보호라는 대립적 관계가 공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환경창이라는 개념을 이용해 하구 생태계가 개발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교란이 최소화되는 기간인 저영향 개발 기간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영향 개발 기간 산정방법은 향후 이루어질 개발사업이나 교란·훼손 행위 등으로부터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근거 및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estuary is a transition zone where fresh water and salt water meet because the stream is connected to the open sea area. So estuaries have very high biodiversity and form a unique ecosystem. However, before the recognition of the ecological value of the estuaries, various damage and disturbances have been occurred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The river master plan is acting as a disturbance factor. However, the river master plan has the public object such as water disaster defense, river function improvement, and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ays in which the opposite relationship of development and ecosystem protection coexist.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windows were used to estimate the low impact development duration. We expected that proposed method for low impact development duration estimation can be used as a basis and basic data to protected the ecosystem from development project and disturbance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지 및 연구방법론
3. 연구결과 및 분석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 구간의 남조류 발생특성 연구
- Effect of Unexpected Foaming Incident on Nitrogen Removal in a Vertical Subsurface Wetland
- 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
- 일 최저 기온을 이용한 한국의 폭염사상 추세
- Wind Fragility for Urban Street Tree in Korea
- 도시 유역에 위치한 하구를 구성하는 하천의 저영향 개발 기간 산정
-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남부 내륙지역 태풍피해예측모형 개발
- 강우 측정 지점에 따른 도시 유역 유출량 변화 분석
- 모델링 기반의 선회와류식 SBR 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장 및 마을하수도 동절기 총인 개선방안 연구
- 자연자원관리를 위한 핵심도구: 적응관리
- Filter Media Specifications for Low Impact Development: A Review of Current Guidelines and Applications
- Comparison of nutrient removal efficiency of an infiltration planter and an infiltration trench
-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for Kurunegala City, Sri Lanka
- 하수처리수와 하천 비점오염원을 이용한 생태적 재처리 효과와 생물 서식처 창출 방안 - 왕포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조위 자료 내 파고 성분 분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