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남부 내륙지역 태풍피해예측모형 개발
이용수 51
- 영문명
- Development of Typhoon Damage Forecasting Function of Southern Inland Area By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김연수(Yonsoo Kim) 김태균(Taeg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1권 제4호, 281~28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부 내륙지역에 속한 시군구별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예측할 수 있는 태풍피해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내륙 지역의 태풍 피해는 호우, 강풍으로 인한 피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므로, 모형을 구성하는 변수가 많고 다양하나, 내륙지역 시군구 단위의 피해사례는 모형을 개발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 태풍피해 관련 수문기상 자료는 3시간 간격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량, 총강우량, 1-5일 선행강우량, 최대풍속 및 제주도 인근 지역에서의 태풍중심기압을 이용하였다. 피해자료의 부족을 고려하기 위해 군집화를 하였으며, 강우 관련 자료의 다중공선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 등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 하여 권역별(경남, 경북, 전남, 전북)로 피해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 의한 태풍피해추정치와 실측치는 최대 2.2배 정 도까지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강풍에 의한 피해를 추정하기 어렵고, 전국 69개 ASOS 관측소에 의한 강우자료가 지역 적 강우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typhoon damage forecasting model was developed for southern inland district. The typhoon damage in the inland district is caused by heavy rain and strong winds, variables are many and varied, but the damage data of the inland district are not enough to develop the model. The hydrological data related to the typhoon damage were hour maximum rainfall amount which is accumulated 3 hour interval, the total rainfall amount, the 1-5 day anticipated rainfall amount, the maximum wind speed and the typhoon center pressure at latitude 33 ̊ near the Jeju island. The Multivariate Analysis such as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he lack of damage data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moving multi-collinearity of rainfall data are adopted for the damage forecasting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typhoon damage estimated and observed values were up to 2.2 times. this is caused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damage caused by strong winds and it is assumed that the local rainfall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dered properly measured by 69 ASO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분석 및 결과
4. 태풍피해예측모형 개발 및 분석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낙동강 본류 구간의 남조류 발생특성 연구
- Effect of Unexpected Foaming Incident on Nitrogen Removal in a Vertical Subsurface Wetland
- 함평만 무안 지역 갯벌의 식생 및 비식생 환경에서 이산화탄소 농도와 플럭스의 계절 변동
- 일 최저 기온을 이용한 한국의 폭염사상 추세
- Wind Fragility for Urban Street Tree in Korea
- 도시 유역에 위치한 하구를 구성하는 하천의 저영향 개발 기간 산정
-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남부 내륙지역 태풍피해예측모형 개발
- 강우 측정 지점에 따른 도시 유역 유출량 변화 분석
- 모델링 기반의 선회와류식 SBR 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장 및 마을하수도 동절기 총인 개선방안 연구
- 자연자원관리를 위한 핵심도구: 적응관리
- Filter Media Specifications for Low Impact Development: A Review of Current Guidelines and Applications
- Comparison of nutrient removal efficiency of an infiltration planter and an infiltration trench
-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for Kurunegala City, Sri Lanka
- 하수처리수와 하천 비점오염원을 이용한 생태적 재처리 효과와 생물 서식처 창출 방안 - 왕포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산형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조위 자료 내 파고 성분 분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