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장애인의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이용수 252
- 영문명
- Analysis on Participation Status and Needs of Adults with Disabilities in Music Activities at Night School for the Disabled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한수정(Su-Jeong Ha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8권 제4호, 253~2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실태와 운영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남녀 성인장애인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음악활동 교육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고 배우고 싶은 음악유형은 대중음악이며, 교육 횟수는 주 2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 장애요인으로는 이동거리 및 교통수단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이를 위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관계자의 심층면담에서는 평생학습 차원에서 진행하는 효과적인 음악활동 운영과 교육 참여 지속의 중요성에 대해 문해교육 연계 및 반복교육의 중요성 인식, 성인장애인의 계속교육을 위한 배려와 지원 확대 인식 등으로 범주화된 주제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y the participation status of and operational needs for disabled adults in music activity at a night school for the disabled in D city. The subjects were 70 disabled adults participating in music program and educational official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music program and educational official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music programs, and most desired type of music to learn was popular music. The distance and means of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be the obstacles to participate and the supports for this are most needed. Linkage with literacy education and repeated and continuing education a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극 수업이 고등학생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반영된 다른 예술영역 및 교과와의 연계 분석
- 인성교육으로서의 랩 창작 지도방안
- 성인장애인의 장애인 야학 음악활동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 음악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 탐색
- 최근 독일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
- ARCS기반 국악창작수업자료 개발
- 중국과 일본 한민족 학교의 민족 음악교육 연구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도 분석
- 음악대학 교과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위기청소년을 위한 실용음악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생활화 영역 ‘음악과 직업’의 교육적 탐색과 반영
- 초등 음악교과서의 육자배기토리 민요 기보와 수록내용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