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에서 손목부 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 진단가치

이용수  19

영문명
Supplemental Value of the Wrist-Worn Actigraphy in Diagnosing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발행기관
대한수면의학회
저자명
임미향(Mee-Hyang Im) 신홍범(Hong-Beom Shin) 이유진(Yu-Jin Lee) 이승희(Seung-Hi Lee) 원창연(Chang-Yeon Won) 이명희(Myun
간행물 정보
『수면정신생리』제12권 제1호, 32~38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심혈관계 합병증이나 주간 졸림증 때문에 점점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수면무호흡증 진단에 야간 수면다원기록법이 표준검사로 인정되고 있으나 비교적 고가의 검사비용과 검사시 각종 감지기 등을 부착하고 인위적 환경인 검사실에서 잠을 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수면다원기록법을 대치할 수 있는 약식 검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이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기록기가 수면무호흡증 진단에 어떤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수면분절의 관점에서 측정해 분석하였다. 방 법: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다원검사실로 의뢰된 37명의 환자들에게 야간수면다원검사와 동시에 활동기록기를 착용시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 37명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외에 주기성 사지 운동 등 다른 수면질환이 함께 진단된 10명의 환자를 제외한 2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면다원검사로 얻은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와 활동기록기의 자료분석으로 얻은 수면분절지수(fragmentation index, FI)를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야간수면다원검사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호흡장애지수, 활동기록기로 산출된 수면분절지수는 각각 401.37±57.83분, 21.67±20.41회/시간, 21.87±12.96회/시간 이었다. 수면분절지수는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53 p=0.003). 결 론:수면분절지수가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는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에 보조적인 도구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의 각종 치료 후 증상 변화에 대한 평가용으로는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has drawn increasing attention as medical community has become to be aware of its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especially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with accident proneness. As of now, polysomnography is the standard tool to diagnose sleep apnea and estimate the treatment validity. However, its being rather expensive and inconvenient, alternate diagnostic tool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wrist actigraphy. So far, actigraphies have been adopted usefully to field-survey sleep apnea prevalence. In this study, we attempted in a sleep laboratory setting to assess the supplemental value of actigraphy in diagnosing OSAS. Methods: This study was done at the Division of Sleep Studie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irty-seven clinically suspected cases of OSAS underwent the one-night polysomnography, simultaneously wearing an actigraphy on non-dominant wrist. We analyzed the data of 27 polysomnographically-proven OSAS patients (male:female 20: 7;age 47.6±12.9 years old;age range 23 to 72 years) with no other sleep disorders. We calculated RDI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from the polysomnography data and FI (fragmentation index) from the actigraphy data.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in order to compare FI with RDI and to evaluate the supplemental diagnostic value of the actigraphy. Results: Mean total sleep time on polysomnography was 21.7±20.4 / hour. Mean FI was 21.9±13.0 / hour. RDI and F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0.55, p<0.01). Conclusions: Wrist actigraphy in OSAS patients generates a comparable outcome to polysomnography, in measuring the nocturnal sleep fragmentation. The actigraphy could be used supplementally in inpatients, outpatients, and field survey subjects, if polysomnography is unavailable or impossible. In follow-ups related with nasal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upper airway surgery, and oral appliance in OSAS patients, the actigraphy might play a more dominant role in the future.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미향(Mee-Hyang Im),신홍범(Hong-Beom Shin),이유진(Yu-Jin Lee),이승희(Seung-Hi Lee),원창연(Chang-Yeon Won),이명희(Myun. (2005).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에서 손목부 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 진단가치. 수면정신생리, 12 (1), 32-38

MLA

임미향(Mee-Hyang Im),신홍범(Hong-Beom Shin),이유진(Yu-Jin Lee),이승희(Seung-Hi Lee),원창연(Chang-Yeon Won),이명희(Myun.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에서 손목부 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 진단가치." 수면정신생리, 12.1(2005): 3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