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성화 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구동향
이용수 27
- 영문명
- The Research Trend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전미애(Me-Ae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5권 제1호, 126~149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개발 및 실천이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특성화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구방향을 설정하는데 조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 현재로부터 최근 10년(2005년 ~ 2014년)간 발표된 학위논문 64편, 학술지 논문 22편을 제목표기,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구대상, 프로그램개발과정,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목적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목표기에 있어서 2014년 11월 현재까지 특성화고등학교를 여전히 전문계 고등학교로 표기하는 연구논문이 많이 있었고, 연구유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는 상담관련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은 부적응학생과 공업계고등학교 학생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개발과정 없이 기존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진로분야가 가장 많았고, 부적응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자율화에 대비하고, 학생들의 교과영역과 정의적 특성 영역의 능력향상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progra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currently whose development and practice are in progress to establish direction of its programs in the futur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latest 64 dissertations and 22 journal articles published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05 till now (Nov. 2014).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data into how the title of study was addressed regarding the term of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ime of publication, participants of study, type of study, theme of study, subject area of study, development process of program, activity area of program, frequency of program performance, and program operation hou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title of study has still been addressed as ‘a professional high school’ instead of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 number of studies. In addit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mostly maladjusted students and technical high school one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ype of study was an experimental type research; the research theme covered most was counseling related one; the subject area studied most was regarding career. Also, method of developing programs was mainly through conducting and verifying the existing programs by reconstruction without program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is suggest to prepare curriculum autonomy and to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in subject area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수준에서의 지식재산보호교육 교재 개발과 활용방안탐색
- 기술 교육에서 아두이노를 활용한 SW 교육 및 STEAM 교육 방안
- STEAM 교육의 창의적 설계 단계에 대한 절차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이 연계된 수능 직업탐구영역 문항 출제 가능성 탐색
- 청소년 발명ㆍ지식재산 이러닝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 특성화고교졸업자의 계열별 대학학업성취도 분석
- 특성화고 1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 변인
- 기술ㆍ가정과 ‘문제해결활동’ 단원을 위한 PBL 문제 설계
- 특성화 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구동향
- 2009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의 세계’ 영역의 핵심 개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