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9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의 세계’ 영역의 핵심 개념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Key Concepts of ‘World of Technology’ Domai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 Subject Based on Amended Curriculum in 2009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춘식(Choon-Si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5권 제1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실과 기술영역, 중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영역의 핵심개념을 성취기준에 기초하여 추출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핵심개념을 추출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핵심개념에 대해 전문가들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내용 타당성은 기술분야 전문가 10명으로 구성하였다. 내용 타당도의 준거로는 교육목표와의 부합성, 핵심 교육내용. 연계성 및 실행 가능성의 측면이었으며 CVR 값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CVR 값이 0.62 이상이면 타당도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하나의 준거라도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핵심개념으로 선정되지 못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과 관련된 핵심개념은 발명사고와 창의적 설계로 추출되었다. 생활 속에서의 물건을 발명하기 위해서는 발명적 사고를 이해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물건의 구상과 설계가 기본임을 의미한다.
둘째, 정보와 관련된 핵심개념은 정보윤리와 소프트웨어로 추출되었다. 세계적으로 정보윤리가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며, 정보 활용 보다는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이 강조되고 있는 맥락과도 일맥상통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기술의 활동과 관련된 핵심개념은 기술의 시스템과 기술적 문제로 추출되었다. 기술의 문제해결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시스템적 접근을 이해하고, 기술적 문제에 대한 개념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와 결론에 따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추출된 우리나라의 기술과 핵심개념과 다른 나라의 핵심개념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해줄 필요가 있으며, 기술과의 핵심개념을 기존의 성취기준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보편적인 영역에서 접근하여 항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key concepts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echnology curriculum and, by doing so, to provide basic materials useful in the revising curriculum. In this study, key concepts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key concept selection,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elected key concepts is tested based on the CVR value by 10 specialists in technology education. When the number of panelists is 10, the CVR minimum is computed 0.62 values.
In this study, based on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key achievement standards, key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the viewpoints of conformity to education goals, importance of education contents, articula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feasibility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s the extrac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he conclusion of key concepts are as follow; firstly, the key concept related invention was extracted invention thinking and creative design. The result is to understand the invention thinking first, and it based on the conception and design of the foundation of things.
Secondly, the key concept related information was selected information ethic and software. It means that information ethics has emerged as a major concern worldwide, and reflects a trend that emphasizes a software algorithm to more information utility.
Finally, the key concept related technological activity was extracted technological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echnical activity, the result is a systematic approach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it must mean that the basis for the concept of the technical probl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수준에서의 지식재산보호교육 교재 개발과 활용방안탐색
- 기술 교육에서 아두이노를 활용한 SW 교육 및 STEAM 교육 방안
- STEAM 교육의 창의적 설계 단계에 대한 절차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안전 교육과 안전 생활이 연계된 수능 직업탐구영역 문항 출제 가능성 탐색
- 청소년 발명ㆍ지식재산 이러닝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 특성화고교졸업자의 계열별 대학학업성취도 분석
- 특성화고 1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 변인
- 기술ㆍ가정과 ‘문제해결활동’ 단원을 위한 PBL 문제 설계
- 특성화 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구동향
- 2009 개정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의 세계’ 영역의 핵심 개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