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167
- 영문명
-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Work Adjustment Skill in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심예은(Shim Yae Eun) 서정근(Suh Jeung Keun) 이상훈(Lee Sang Hoon)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8권 제2호, 89~1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N 장애인복지관에서 직업재활훈련을 받는 성인 정신지체장애인 11명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33회기의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전ㆍ후의 운동, 정서행동, 대인관계 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능력 총점평균은 사전 72.07점에서 사후 79.44점으로 평균 9.37점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4). 또한 정서행동능력의 결과로는 사전 70.42점에서 사후 80.62점으로 평균 10.2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13). 대인관계능력의 총점은 사전 48.18점에서 사후 56.45점으로 평균 8.27점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4). 또한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정신지체 장애인의 자기인식, 내적 동기화, 자기 효능감 증진, 모의 직업상황 경험 증진을 통해 개인별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대상자의 개별 특성과 참여도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직업적응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이 직업을 가지고 직업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적응능력인 운동능력, 정서행동능력, 대인관계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며, 더 나아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인식과 자발성 등 근로자로서의 바람직한 태도의 향상과 심리적 안정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방법이라 결론지을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erms of data analysis, we took subjects of 11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who take part in total of 33 sessions horticultural therapy twice a week at a N rehabilitation center and looked into the before and after difference of horticultural therapy on work adjustment skills verified it through the Paired t-test.
As a result, the subjects total points in physical skills increased by 9.39 on average from 72.07 before the work adjustm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79.44 after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 Their emotional behavior skills also increased by 10.2 on average from 70.42 to 80.62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3).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increased by 8.27 on average from 48.18 to 56.45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4).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it s concluded that the work adjustmen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s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to enhance the physical, emotional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hich are personal work adjustment skills needed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o get and maintain a job. It s also suggested that the program can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desirable attitude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s workers including vocational perception and spontaneity through qualitative behavior cha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Ⅵ.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 호흡기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방안 - 취업과 직업유지요인을 중심으로
-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 적용사례 고찰: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 직업훈련 환경에서 상황중심 안전기술 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위험대처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장애인의 직업적응력 증진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직업재활전문인력의 자격연수과정 운영에 대한 연구
- 보조공학 만족도 요인이 장애인근로자의 작업수행능력, 직무만족도, 신규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ACUM법을 이용한 산재장애인 재활상담사 직무분석 연구
- Reasonable Accommodations의 장애인 고용증가 및 유지효과
-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habilitation Counselors’ Level of Education and Client Employment Outcomes : A literature review
- 중증 장애인의 위기행동 예방과 중재 훈련욕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국 대형마트 PB식품에 대한 태도,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선택속성, 신뢰, 소비자특성을 중심으로
- 서울시 연립·다세대 강제경매에 관한 시계열 분석: 마코프 국면전환 모형을 활용하여
- 프랑스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