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가 던진 돌
이용수 1,428
- 영문명
- A Stone Thrown by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서봉언(Seo Bongeon)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자료집』2019년 추계학술대회, 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담당 부장교사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고등학교의 학교 문화, 교사의 업무 변화, 나아가 학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등학교 내 학교문화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대입에 있었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의 변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둘째,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사가 담당해야 할 업무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가 있었다. 더욱이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수강신청 프로그램은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 모든 교사들이 사설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등 고교학점제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 및 시설, 제도 개선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셋째,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있다. 직접 수업을 선택하고 수강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존중받고 있었다. 본인이 선택한 수업이기에 이전 보다 수업 집중도도 높아짐을 교사들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여전히 ‘수능’을 생각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수업 선택에 제약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결과로 비추어 보건대, 다학년 다교과를 맡을 수 있는 교원 양성이 시급하다. 교원양성 과정에서 복수전공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며, 기존 교사를 위한 부전공 연수기회도 확대해야 할 것이다. 필요한 교과의 교사가 제 때 수급되지 못하고 있어 폐강을 하거나 수업의 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어 교원 배치 제도, 외부강사 활용 방안 등이 시급히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lture of high school, the work change of teachers, and the change of students by analyzing the storie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hool culture in high school did not change much, and the reason was the college entrance exam. However, some teachers have begun to show signs of change.
Second, the work that teachers have to take on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hanged in quantity and quality. Moreover, the application program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nconvenient, so all teachers are using private programs. There are many urgent tasks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ystem to settl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students attending a high school implemented the credit system is having a new experience. The learners were respected in the course of choosing and taking classes in person. Teachers were also aware that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the class than before because it was their own choice. It is also true, however, that students are restricted from choosing classes because they have to think about the CSAT.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urgent to nurture teachers who can take charge of multi-grades and multidisciplinary teaching. Efforts will be needed to promote multiple majors in the course of fostering teachers, and second major training opportunities for existing teachers will also have to be expanded. As teachers in the required classes are not available on time, there are concerns over the possibility of the closure of classes or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classes, the system for the placement of teachers and ways to utilize outside lecturers is urgently need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고교학점제의 도입, 그리고 여러 난제들
Ⅲ. 연구방법
Ⅳ. 고교학점제가 가져온 파동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직과목 현장성 강화를 위한 교육사회학 교수요목 개편 방안
- 예비교사가 교육사회학을 배우는 이유: 교직과목 현장성 강화를 위한 교육사회학의 제안
- 중등교원양성체제에 따른 교직동기, 교사효능감 비교 연구
- 중초임용교사와 교대출신 교사의 특성 비교 연구
- 교수·학습사회학에의 초대: 교육사회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하여
- 교육연구자로서 교사들의 실행연구: 역사적 발전과 딜레마
- 고교학점제가 던진 돌
- 경계의 횡단(boundary crossing) 또는 영속적 림보(limbo)?: 제2의 경력교사(second career teachers)의 교직사회화에 대한 탐색적
-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획득 연구: 출신 지역별, 대학소재별 격차를 중심으로
- 학급경영자로서 교사 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학급경영 지식의 공식화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 고등학생의 학업탄력성 변화: 추이 및 근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