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경험
이용수 1,130
- 영문명
-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cademic Failure Trauma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황매향(Hwang Maehyang) 조아라(Cho Ahra) 선혜연(Seon Hyeyon) 김영빈(Kim Youngbi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39권 제3호, 145~17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업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업실패의 양상과 극복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중·남부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 514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지각하고 있는 주관적 트라우마로서의 학업실패 경험을 개방적 질문지를 통해 수집했다. 이 가운데 고등학교 시기에 경험한 학업실패를 보고한 330사례의 내용을 합의적 질적 분석-수정본(CQR-M)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4명으로 구성된 합의팀이 5회에 걸친 합의과정을 거쳐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시기에 해당하는 학업실패 내용은 5개 범주(불합격, 성적 하락, 공부 도중 느낀 좌절, 주관적 기준 미달,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시험 실패), 학업실패가 마음에 남긴 상처는 5개 범주(정서적 상처, 자아상의 손상, 과제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정서, 관계 악화, 세상에 대한 회의감), , 실패 이후 적응은 3개 범주(실패 극복을 위한 노력, 실패라는 경험을 해보는 것의 효과, 실패 극복 후 얻은 것), 타인의 도움은 2개 범주(도움이 된 사람, 도움의 내용)가 각각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학생들의 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를 이해하는데 갖는 의의와 학업상담 실제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failures experienced by Korea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how they overcome those failures. For this purpose, 514 undergraduate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southern provinces reported their experience of academic failure as a subjective trauma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Among these, 330 cases reporting the academic failures experienced during the high school period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Amendment (CQR-M) procedure. The consensus team, consisting of four members, reached a final outcome through 3 consensus sessions. As a result, categories of the academic failure trauma events, wound left in mind, adaption after failure, and other peoples’ help were derived. Each consisted of 5 categories (failure to pass, low grades, frustration felt during study, high expectation, unexpected events), 5 categories (emotional wounds, impairment of self-image, negative attitudes and emotions for the academic tasks, deterioration of relationship, skepticism about the world), 3 categories(coping efforts, profits of failure experience, changes after failure coping) and 2 two categories (helping person, helping conten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cademic failure as a subjective trauma experience and implications for academic counseling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관적 트라우마 경험으로서의 학업실패 경험
- 통합적 관점으로 본 체육 교사의 수업지식 활용과 어려움
-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과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수업의 개발 및 적용
- 온라인 동화 학습이 초등학생의 영어학습에 끼치는 영향
- 「투명사회협약」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 및 요구
-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여건에 대한 종단분석
- PBL활용 다문화동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에 관한 효과
- 동화에 기초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취업 학부모 면담에서 나타난 인식 및 태도
- 동기 유발 전략 기반 피드백이 초등 영어 쓰기 동기와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일 국제 공동수업에서의 문화 간 대화와 교사 성장
- 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에 활용된 문부성 저작 교과서의 성격: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3) 토지와 인간(私たちの生活(三) 土地と人間)’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