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준비 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49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Vocational Preparatory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이경선(Lee Kyung-sun) 이미숙(Lee Mi-suk)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25권 제3호, 151~1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직업준비 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32부의 설문지를 수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직업준비 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직업준비 교육도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는 직업준비 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실제로 가르칠 때는 중요도 보다 낮은 수준으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직업준비 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특수학급 교사가 특수학교 교사보다 직업준비 교육을 중요하게생각하고 있었고, 실행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직업교육 전공여부에 따른 직업준비 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직업교육 연수를 이수한 교사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직업준비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실행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후속연구에서는 특수교사가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직업준비 교육에 대해 인식하는중요도와 실행도 수준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직업준비교육을 실행하면서겪는 경험에 대한 질적접근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the vocational preparatory education(VPE)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implemented the survey research with 132 questionnaires from the teachers of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e VP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ery seriously, and the VPE was carried practically. Second, they taught the VP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which they considered.
Third, according to the career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VPE. And special class teachers thought job preparation training more important tha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m in performance level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VPE between the teachers who majored in vacational education and the teachers who didn’t. The teachers who have complete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considered the VP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ers who hav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levels. In further researches, qualitative approaches to the experience gained while performing the VP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ould be required.
From those stud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uld be able to understand why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levels of the VP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 지적장애자녀의 부모인식에 관한 연구
- 산재근로자들의 고용안정과 건강한 삶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반의 규칙 도출 연구
- 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을 위한 인간공학적 작업평가 연구 : 화장지 생산시설을 중심으로
-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적합성이 이직의도에 미 치는 영향 및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에 대한 그림동화를 활용한 행동주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중증장애인 고용유지 및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직무지도원(job coach)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현실치료를 적용한 대인관계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각장애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준비 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인의 경제활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