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피부자극법과 국소마취크림 도포에 따른 통증과 심박변이도 비교
이용수 137
- 영문명
- Comparison of Skin Stimulation Method and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and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Arteriovenous Fistula Puncture in Hemodialysis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강효영(Kang Hyo Young) 채영란(Chae Young Ra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1권 제3호, 207~2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was to compare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skin stimulation method and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heart rate variability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during arteriovenous fistula puncture in chronic renal failure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over design. Participants were 36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treatment. Two forms of intervention were applied to participants, and then pain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measured during the puncture.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treatment in vein pain and artery pain. Also,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treatment in stress index, sympathetic activity (LF), parasympathetic activity (HF) and sympathetic activity/parasympathetic activity (LF/HF ratio). Satisfaction with application of skin stimulation method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opical anesthetic cream application.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the skin stimulation method complements disadvantages of topical anesthetic cream application and demonstrates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by nurses in clinical practice.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폰 사용, 수면양상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간의 관계
- 한국 성인의 고 위험 당뇨에 대한 스트레스와 체질량 지수의 성별 차이
-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적 스트레스, 신체화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 장단기 고용량 카페인 투여가 청소년기 동물모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개별적 저 나트륨 투석 액 적용이 말기 신부전증 환자의 혈압, 투석 간 체중 증가, 갈증 및 투석 중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 웃음치료가 위장암 생존자의 우울, 불안, 피로,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두경부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연구 측정변수에 대한 고찰
- 팀 접근 재활프로그램이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하지근력에 미치는 효과
- 혈액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천자 시 피부자극법과 국소마취크림 도포에 따른 통증과 심박변이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