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 Simmel의 사회적 공간담론의 교육학적 의미 분석 - 학습도시·창조도시·마을만들기 담론에의 함의 -
이용수 291
- 영문명
- An analysis on pedagogical meaning of G. Simmel s discourse on the space - for implication of the discourses on lifelong learning city, creative city & village making -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준(Byung-Jun Yi) 박지연(Ji-Yeon Park)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7권 제4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공간의 문제는 전통적으로 철학이나 수학, 건축학이나 도시공학 등의 학문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공간을 인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학습의 장으로 인식할 경우 공간은 교육학적 관심의 사유체계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공간을 사회적 공간으로 인식한 짐멜(G. Simmel)의 논의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가 깊다. 짐멜은 사회학적 공간 논의에서 ‘주체’를 강조하고 있으며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간 경험을 하면서 어떻게 인식작용을 일으키는지, 주체가 어떻게 도시와 공간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주체’의 문제, ‘공간 경험’, ‘인식작용’, ‘상호작용’과 같은 개념들은 공간사회학적 논의의 교육학적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짐멜의 이론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에 속하는 친교는 질적 정체성과 양적 정체성 모두를 담보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며 이는 슐라이에르마허(F. Schleiermacher)의 교육이론과도 연결된다. 최근 평생학습도시나 마을만들기, 창조도시 등의 논의 속에서 공간기획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짐멜 텍스트의 교육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학습도시와 마을만들기, 그리고 창조도시를 통해 생성되는 도시속의 공간해석과 공간생산 행위는 대체로 시민들의 사회적 의미공동체를 염두에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매우 하드웨어적이거나 프로그램적으로 단순한 수준에서 검토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제 공간적 실천은 어떠한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공간들을 생산할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도시공간의 이면에 놓여있는 사회적 맥락, 문화적 가치, 그리고 교육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함께 해갈 때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Until now, spatial problems have been traditionally treated in studies such as Philosophy, Mathematics, Architecture, Civil engineering, etc. But, if the space is perceived as the place of social learning for human interaction, the space enters thinking system of pedagogical interests. Therefore, it s very significant to interpret pedagogically the discourse of G. Simmel who perceives the space as a social space. G. Simmel emphasizes subject in the discourse on sociological space. And, he focuses how urban people make cognition during the spatial experience and how the subject can be formed by interaction in the city and space. The concepts he emphasizes, such as problem of ‘subject’, ‘spatial experience’, ‘cognition’ and ‘interaction’, show pedagogical relationship of spatial and sociological discourse. Especially, the friendship which is a core of social interaction in Simmel s discourse is an important concept which can guarantee both qualitative identity and quantitative identity and it is also related to Schleiermacher s educational theory. Recently, an importance of spatial planning is newly emphasized in the discourse of learning city, village creation, creative city, etc. Meanwhile, it s important to understand pedagogical meaning of Simmel s text. The behavior of spatial interpretation and spatial production in the city created by learning city, village creation and creative city doesn t consider citizens social meaning community thoroughly, so it shows a limitation that it is on hardware or examined by simple standard for program. Now, spatial practice should be conducted by considering which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s will be produced and it will be plentiful when all of the discourses on social context, cultural value and educational meaning on the hidden side of urban space are performed together.
목차
Ⅰ. 서론 : 공간과 사회학적 상상력
Ⅱ. 짐멜의 사회적 공간 담론
Ⅲ. 짐멜에 있어서의 문화와 교육
Ⅳ. 친교 : 사회적․문화적․교육적 공간의 접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로교육’을 넘어서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향유
-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중요도
- 음악의 자연성과 미적 경험의 음악교육 실천적 함의(含意) - 존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
- 어린이 책읽기 북돋우기 7개국 사례
- G. Simmel의 사회적 공간담론의 교육학적 의미 분석 - 학습도시·창조도시·마을만들기 담론에의 함의 -
- 왜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인가? - 문화인지적 관점에서의 고찰 -
- 공공미술을 통한 미적 체험의 특성과 효과 -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 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미술관 교육에 대한 탐색 : 미국의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의 딜레마
- 공동체와 커뮤니티 박물관 사회적 : 역할과 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상호작용 원리와 예술적 실천
- 부산시 예술분야 토요 프로그램 현황과 발전방안
- 그림책 표현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 : 점그림책 만들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