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인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이용수  299

영문명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Clarity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in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이현우(Hyun-Woo Lee) 김혜연(Hye-Yeon Kim) 구본호(Bon-Ho Koo)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7호, 797~80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7.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의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위치한 중앙부처를 주요기반으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총 208명(남 83, 여 125명)을 대상으로 SPSS 20.0을 활용하여 기초자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Mplus7.0을 활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지지는 회복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정신건강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정서인식명확성,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과 직장에서의 사회적지지는 정신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회복탄력성은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정신건강 악화 및 소진을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으로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서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틀을 마련해줄 뿐 아니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employee s emotional -clarity,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basic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for a total of 208 workers (83 males and 125 females) who working by based at the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the mediated effects were verified using Mplus7.0. As a result, first, emotional-clarity and social support had a static effect on resilience, and the impact on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shows that the resilience has a static effect on mental health.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emotional-clarity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a clear recognition of one s emotions and corporate social support did not directly affect mental health, bu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as a protective factor which reduce mental health deterioration and exhaustion in these effect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 only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d mental health, but also the development of a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a counseling approach are neede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우(Hyun-Woo Lee),김혜연(Hye-Yeon Kim),구본호(Bon-Ho Koo). (2019).직장인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7), 797-806

MLA

이현우(Hyun-Woo Lee),김혜연(Hye-Yeon Kim),구본호(Bon-Ho Koo). "직장인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7(2019): 797-8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