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 다문화가정의 가족레질리언스 형성요인에 관한 질적 탐구
이용수 299
- 영문명
- A Qualitative Research on Various Factors Contributing to Creating Family Resilience Among Migrant Multicultural Couples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백지은(Jieun Baek) 원종숙(Jongsook Won) 김성길(Seonggil Kim)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2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5.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질적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정의 부부가 자녀를 키우고 살아나가는 삶의 경험 속에서 가족레질리언스가 형성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족레질리언스 접근은 가족을 역경과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자원체계로 이해한다. 다시 말해서, 가족구성원의 변화에 대한 적응과 결속력의 강화라는 긍정적 측면으로 다문화가정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가족레질리언스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이들의 경험 속에서 의미를 해석하고 범주화한 결과, 주요한 가족레질리언스 요인으로는 첫째, 경제적 어려움 극복을 통한 동지애 형성, 둘째, 가족 결속력 강화, 셋째, 원활한 의사소통을 추출하였다. 또한 하위요인으로는 ‘아내가 남편의 경제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 ‘가족과 사회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 ‘경제활동에 참여’, ‘상호보완적인 양육태도’, ‘문화적 차이에 대한 타협’, ‘의사소통에 대한 적극적 의지’, ‘개방적 정서표현을 통한 협력적 태도’ 등을 도출하였다. 향후, 다문화가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부가 서로 동지애를 형성하고 결속력을 강화하며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향상할 수 있는 가족구성원의 인식 개선, 타문화 이해 증진, 의사소통훈련 등의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확대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y using qualitative inquiry method, various factors that lead to creating family resilience through life experience shared by married coupl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en raising their children. The family resilience approach recognizes family as a resource system to overcome hardship and stress. We approached this inquiry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 of family resilience that recognizes multicultural families adapting to continuous changes in family members yet still strengthening family cohesion. We attempted to interpret and categorize the meaning of their life experience and concluded that the main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are (1) formation of comradeship through overcoming economic difficulties, (2) strengthening family cohesion, and (3) open communication. In sub-domain, we identified the factors such as, wife actively intervene husband s financial problems , actively uses the support of family and community ,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 complementary parenting attitude , compromise on cultural differences and cooperative attitude through open communication .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 expec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adult education programs to help strengthen comradeship of couples, reinforce cohesion of their relationship, promote positive and open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improve their awareness of cultural differ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기초 지방자치단체 초대 공공기관장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임명과 퇴임 전후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의 책쓰기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