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노인의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1,035

영문명
Systematic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Group-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발행기관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임승주(Lim Seung-Ju) 박지혁(Park Ji-Hyuk)
간행물 정보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1권 제1호, 27~4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재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 연구를 분석하여 지역사회 노인에게 효과적인 우울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PubMed,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주요검색 용어로는 older* OR elder* , community AND group , depress* , intervention OR program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6편의 연구에서 10개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된 6편 연구는 모두 무작위 통제 실험연구로 근거수준 I에 해당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모두 short GDS가 사용되었다. 중재는 4개로 구분되며 운동프로그램, 사회적 중재와 인지적 중재, 웃음 치료 순으로 많이 시행되었다. 각각의 회기별 시간과 중재 기간은 다양하였고,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가 실시된 연구가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기반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작업치료 현장에서 효과적인 우울 중재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We searched PubMed, EMBASE, and CINAHL for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8. The key words used in the search were“older* OR elder*”, “community AND group”, “depress*” and “intervention OR program”. From a total of 6 papers, the data of 10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were extracted. Results: All papers reported level I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overall evidence level was high. The subjects included more women than men, and the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xercise programs, social interventions, cognitive interventions, and laughter therapy. The time and duration of each session varied, and many studies conducted post-tests to verify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Conclusion: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by occupational therapists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주(Lim Seung-Ju),박지혁(Park Ji-Hyuk). (2019).지역사회 노인의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1 (1), 27-40

MLA

임승주(Lim Seung-Ju),박지혁(Park Ji-Hyuk). "지역사회 노인의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1.1(2019): 2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