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질모의시 적정 탈산소계수 선정을 위한 연구 - 황구지천을 대상으로 -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rationalized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for stream quality modelling in the Hwangguji stream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노희성(Huiseong Noh) 안태진(Taejin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1권 제1호, 77~8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2년 및 2014년 수행된 황구지천 하천기본계획 수립에 있어서 수질오염농도의 예측을 수행하였지만, 수질 예측모델링과정에서 관행적으로 적용한 반응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수질 예측 결과의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황구지천 국가하천 약 7.8 km 본류구간인 세마교와 수직교사이에서의 탈산소계수를 평가하여 기존 수질모델링에서 적용한탈산소계수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관측자료를 통하여 황구지천 세마교 지점(HGJ2)부터 수직교 지점(HGJ3)구간에서 풍수기간일 경우 탈산소계수는 0.078 day-1 ∼ 0.748 day-1, 갈수 기간일 경우는 0.053 day-1 ∼ 0.505 day-1 등으로 산정되었다.
2002년에 수행된 황구지천 수질 예측모델링에서 적용한 탈산소계수는 0.02 day-1 ∼ 3.4 day-1 범위의 값을 적용하였으며, 2014년에는 0.043 day-1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2002년에는 실제 관측된 수질보다 긍정적으로 예측되었으나, 2014년에는실제 관측 수질보다 부정적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적정한 탈산소계수의 적용도 상당한 요인이 작용한것으로 보이며, 향후 수질예측모델링에서 관측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관측자료에 의한 탈산소계수의 결정을 통하여 수행할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Stream water qualities have been predicted in the year 2002 and 2014 through providing the Hwangguji Stream Rectification Plan. However, the reliability of result for predicted water quality was relatively lower by applying conventional values of the parameters in model. In this study deoxygenation coefficients between Sema bridge(HGJ2) and Sujik bridge(HGJ3) have been evaluated based on the observed data of water quality and travelling time to compare with the applied value of coefficients in predicting water quality model. The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0.078 day-1 ∼ 0.748 day-1 for normal period and 0.053 day-1 ∼ 0.505 day-1 for drought period have been calculated based of observed data between Sema bridge and Sujik bridge.
The values of coefficients 0.02 day-1 ∼ 3.4 day-1 have been applied in predicting water quality model in the year 2002 and 0.043 day-1 2014. Thus, the simulated results of stream water quality were better than the observed data in 2002, and worse in 2014.
It has shown that values of deoxygenation coefficient should be properly estimated based on observed data to predict proper stream water quality by model.
목차
1. 서 론
2. 황구지천 유역 및 수질 현황
3. 황구지천 수질(BOD) 예측 및 평가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ID 시설의 지속가능성 관리인자 도출 및 시민참여 관리방안
- LID 적용확대를 위한 시민의 도시환경 및 LID 인식
- 계절·유황특성을 고려한 주지하수감수곡선을 활용한 기저유출분리 평가
- 수질모의시 적정 탈산소계수 선정을 위한 연구 - 황구지천을 대상으로 -
- 대기천 유역에서의 강우기 유량-SS배출 특성 및 원인분석 연구
- 환경 친화적인 간단관개를 통한 논에서의 온실가스 저감
- 우포늪 수위 자료의 시계열 모형화 및 잔차 분석
- 다중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최적화
- 금강하구 갯벌 내 환경요인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의 상관관계
- 분산 모형에 따른 습지경관의 생태 네트워크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