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산 모형에 따른 습지경관의 생태 네트워크 특성 분석
이용수 18
- 영문명
- Characterization of Ecological Networks on Wetland Complexes by Dispersal Models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김빈(Bin Kim) 박제량(Jery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1권 제1호, 16~2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식물의 서식지 제공 및 수문학적 조절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습지는 경관 내 습지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생태계를 구성한다. 따라서 습지경관에서의 생태계의 리질리언스 등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동역학적 특성과더불어 습지간에 형성되는 생태적 연결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습지를 생태학적 노드로 정의하여 습지 서식종의분산 모형에 따라 발생하는 습지간 연결을 통해 생태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생태 네트워크의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임계거리를 활용한 분산모델 (threshold distance)의 경우 확률적인 분산모델(exponential dispersal kernel, heavy-tailed dispersal model)과 비교하여 국지적인 군집화가 높으나 습지 간의 이동에는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확률적 분산모델의 경우 국지적인 군집화는 낮게 나타나나 습지 경관 내에서의 이동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분산 모델에 따른 생태 네트워크 특성에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습지경관 리질리언스 분석을 위한생태 네트워크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Wetlands that provide diverse ecosystem services, such as habitat provision and hydrological control of flora and fauna, constitute ecosystem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wetlands existing in a wetlandscape. Therefore, to evaluate the wetland functions such as resilie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cological connectivity that is formed between wetlands which also show hydrologically dynamic behaviors. In this study, by defining wetlands as ecological nodes, we generated ecological networks through the connection of wetlands according to the dispersal model of wetland spec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etworks were then analyzed using various network metrics. In the case of the dispersal based on a threshold distance, while a high local clustering is observed compared to the exponential dispersal kernel and heavy-tailed dispersal model, it showed a low efficiency in the movement between wetland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tochastic dispersion model, a low local clustering with high efficiency in the movement was observed. Our results confirmed that the ecological network characteristics are completely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dispersal model is chosen, and one should be careful on selecting the appropriate model for identifying network properties which highly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network structure and function.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 과
4. 고 찰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ID 시설의 지속가능성 관리인자 도출 및 시민참여 관리방안
- LID 적용확대를 위한 시민의 도시환경 및 LID 인식
- 계절·유황특성을 고려한 주지하수감수곡선을 활용한 기저유출분리 평가
- 수질모의시 적정 탈산소계수 선정을 위한 연구 - 황구지천을 대상으로 -
- 대기천 유역에서의 강우기 유량-SS배출 특성 및 원인분석 연구
- 환경 친화적인 간단관개를 통한 논에서의 온실가스 저감
- 우포늪 수위 자료의 시계열 모형화 및 잔차 분석
- 다중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분포형 수문모형의 최적화
- 금강하구 갯벌 내 환경요인과 저서성무척추동물 군집 분포의 상관관계
- 분산 모형에 따른 습지경관의 생태 네트워크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