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생형 LID 시설에서 면적 기반의 적정 용량 설계 방법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Analysis of area-based optimal capacity design method in vegetation type LID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박서원(Seowon Park) 길경익(Kyungik Gil)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0권 제4호, 383~38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비점오염 물질로 인한 수계 오염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점오염 물질에 의한 수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D 시설의 적정 용량 설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식생형 LID 시설의모니터링 결과를 분석에서 얻은 SA/CA 그래프에 용인시의 누적강우량 80%에 해당하는 강우를 적용시켜 보았다. 분석결과, 누적강우량 80%에 해당하는 강우의 유량저감 효율 80%를 달성하기 위한 SA/CA 비율은 0.6%, TSS 제거효율80%를 달성하기 위한 SA/CA 비율은 0.5%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식생형 LID 시설의 적정 SA/CA 비율은향후 식생형 LID 시설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식생형 LID 시설의 데이터를추가한다면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water pollution due to non-point pollutants continues. Stud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prevent such non-point pollutants from flowing into the water system and to prevent water pollution.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dequate design of the LID facilities the rainfall corresponding to 80% of the cumulative rainfall of Yongin city was applied to an SA / CA graph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monitoring results of the vegetation type LID facility. As a result, the appropriate SA/CA ratio was 0.6% for stormwater sustain efficiency 80% and the appropriate SA/CA ratio was 0.5% for TSS removal efficiency 80%.
The appropriate SA/CA ratio of the vegetation type LI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future vegetation type LID design. If more data of vegetation type LID are add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t will be more accurate.
목차
1. 서 론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속에 따른 하천 내 미세조류의 이산화탄소 고정 효과
- 새만금 유역에서 논 최적관리기법의 수질개선 효과와 정책고려사항
- 식생형 LID 시설에서 면적 기반의 적정 용량 설계 방법 연구
- 가야산 수계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과 이화학적 수질 요인과의 상관관계
- 2차원 수리해석모형을 이용한 영산강 하류부의 홍수파 도달시간 분석
- Performance assessment of an urban stormwater infiltration trench considering facility maintenance
- 인공 저류지를 이용한 축산 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 저감 효율 분석
- 가뭄 극복을 위한 댐의 비활용용량 활용 방안 연구
- 지표면 기온 및 이슬점 온도를 고려한 여름철 월 최대 일 강수량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 강우-유출 채수간격이 복합지목 유역의 BOD, T-P 부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 활성탄과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용액상의 니켈과 구리 제거 특성
- 중금속과 체류시간이 산업단지하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 강우자료의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 분해 성능 평가
- 한국형 부영양화지수를 이용한 소옥천 유역의 부영양 특성 분석
- Potential Applicability of Moist-soil Management Wetland as Migratory Waterbird Habitat in Republic of Korea
- The Effect Analysis of Vegetation Diversity on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in Paddy Wetland
- 연도별 변화와 개선된 방법을 고려한 홍수피해잠재능의 세부 항목 평가 방안
- Vegetation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an Eco-technological Water Purifying Biotope in Yongin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