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형 부영양화지수를 이용한 소옥천 유역의 부영양 특성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rophic Characteristics of the SoOak River Watershed Using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 저자명
- 박재범(Jaebeom Park) 갈병석(Byungseok Kal) 이철구(Chulgu Lee) 홍선화(Seonhaw Hong) 최무진(Moojin Choi) 서희승(Heese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습지학회지』제20권 제4호, 330~33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옥천 유역 내 본류 8개 지점의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를 산정하고 COD, T-P, Chl-a에의해 계산된 인자별 TSIko를 이용하여 하천에 대한 환경특성을 분류하고 평가하였다. 소옥천 유역의 경우 수심이 얕고 강우시비점오염 유입, 하수처리장 방류수 유입, 체류시간 증가 등으로 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연중 중영양 이상의영양 상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청호 유입 지점인 추소 지점의 경우 수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수질이 악화되어 부영양 상태를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소옥천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을 통해 원인분석과 이에 따른 수질개선대책 수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할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Korean Eutrophication Index(TSIko) was estimated using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of eight main sites in the SoOoak River watersh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ivers were classified and evaluated using the TSIko for each factor calculated by COD, T-P, and Chl-a. There is a good condition for the algae to grow due to shallow water depth, inflow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during rainfall, influx of sewage treatment effluent and increase of residence time. It shows trophic state more than mesotrophication year round. Especially, in case of Chuso point, which is the inflow point of Daecheong Lake,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d due to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showed the eutrophic st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easure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through the precise monitoring of SoOak River.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속에 따른 하천 내 미세조류의 이산화탄소 고정 효과
- 새만금 유역에서 논 최적관리기법의 수질개선 효과와 정책고려사항
- 식생형 LID 시설에서 면적 기반의 적정 용량 설계 방법 연구
- 가야산 수계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특성과 이화학적 수질 요인과의 상관관계
- 2차원 수리해석모형을 이용한 영산강 하류부의 홍수파 도달시간 분석
- Performance assessment of an urban stormwater infiltration trench considering facility maintenance
- 인공 저류지를 이용한 축산 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 저감 효율 분석
- 가뭄 극복을 위한 댐의 비활용용량 활용 방안 연구
- 지표면 기온 및 이슬점 온도를 고려한 여름철 월 최대 일 강수량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 강우-유출 채수간격이 복합지목 유역의 BOD, T-P 부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
- 활성탄과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용액상의 니켈과 구리 제거 특성
- 중금속과 체류시간이 산업단지하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 강우자료의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 분해 성능 평가
- 한국형 부영양화지수를 이용한 소옥천 유역의 부영양 특성 분석
- Potential Applicability of Moist-soil Management Wetland as Migratory Waterbird Habitat in Republic of Korea
- The Effect Analysis of Vegetation Diversity on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in Paddy Wetland
- 연도별 변화와 개선된 방법을 고려한 홍수피해잠재능의 세부 항목 평가 방안
- Vegetation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an Eco-technological Water Purifying Biotope in Yongin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