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컵타) 수행과정에서 인지적·사회적 상호작용과 학습전략 연구
이용수 250
- 영문명
- A Study of Cognitive and Social Interaction and Strategy Expressed during the Collaborative Leaning in Elementary Music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임혜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음악교육학회 학술대회지』2016년 국제학술대회, 333~34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1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효과적인 성취를 이루기 위해 인지능력과 더불어 동기, 목표, 학습전략 등의 비인지능력도 매우중요하다. 학교교육에서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은 인지능력과 더불어 자기인식, 소속감 등의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성과 비인지능력 발달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컵타) 수행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습전략과 구성원 간 인지적·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2016년 5월 경기도 A 사립초등학교 5학년 48명의 학생들(여학생=23명, 남학생=25명)을 대상으로 4명씩 한 그룹이 되어 컵타 연주 발표 연습하는 과정을 사례연구 하였다. 연구문제는 (1)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 수행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와 결과물은 어떤 관계인가? (2) 학생들은 그룹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전략을 사용하는가? (3) 음악수업에서 그룹과제가 개인의 인지와 비인지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가? (4) 협력학습을 통한 연습이 효과적인가? 이다. 연구방법은 5단계 척도의 Collaborative Learning Questionnaire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그룹과제 수행과정에서 개인의 인지를 비롯하여 사회적 안정감, 사회적 화합, 자기효능감, 학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친구들 간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4팀을 선별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한 결과 목표달성을 위해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6개의 항목: (1) 역할분담 (2) 과제인식 (3) 모델링 (4) 암기 (5) 평가 및 수정 (6) 음악적 가치관형성, 과정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들의 리듬감 발달이 이루어지고 성공적인 그룹연주로 이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investigation of how teams of elementary students (Grade5) in collaborative learning build mutually shared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y during “Cup-ta” performance practice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cognitive and social interaction during group practice by collaborative learning. Also Sixteen children in focus groups were chosen to interview for closer observation and to find out the strategy expressed in collaborative practice for the successful final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and social interaction formed mutually shared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y, resulting in higher perceived team performa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 strategy, which children expressed in collaborative practice, could be categorized into 6 elements: (1) Role assignment (2) Task recognition (3) Modeling (4) Memorization (5) Evaluation and Adjustment (6) Formation of musical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자료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본 음악교육의 방향
- Paper and voice projects
- Collaborative creativity, promisingness and signature pedagogies: lessons from eminence pedagogies in music composition
- 신일고등학교 클래스피아노 운영을 통한 음악학습과 교과학습 성취도 간의 상관 관계
- 스토리텔링을 통한 가사 노래가사 지도방안
- 이야기가 있는 음악놀이
- 예비음악교사의 협력적 음악이론 수업 탐색
- 융합교육을 위한 합주 수업 지도법 개발과 적용
- 초등예비교사의 음악 선(先)경험과 음악교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 교과교육과정 문화영역 연계성 강화 방안
-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컵타) 수행과정에서 인지적·사회적 상호작용과 학습전략 연구
- 단소, 무엇을 공부할까?(단소로 오페라를 연주해보자)
- 초등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음악교과 전문성 신장에 대한 고찰
- 중국 조선족학교 다문화음악교육 실태연구
-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음악과 사회정서학습(SEL) 프로그램 개발
- 지역 전래동요에 기초한 문화체험활동이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과 국악능력 및 국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최근 음악교육의 동향과 과제
- 소통과 융합의 관점에 본 한슬릭의 음악미학
- 듀이의 하나의 경험 으로 읽은 벚꽃 엔딩
- 소통과 배려를 위한 전통음악 수업 사례 연구
- The sound education and the grain of the music
- 자유선택활동시간 음률영역에서 나타나는 유아 간 또래교수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음악교육 교과목 교육과정 현황 조사
- 유아인성교육
- 초등 예비 교사의 음악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전문성 개발 과목에서 동료교사 간 상호작용(소통)에 대한 음악교사들의 지각 연구
- 칸딘스키 추상화 작품 연구를 통한 음악과 움직임 통합 수업 사례
- 외재적 관점에서 살펴본 동요 ‘우리의 소원’의 의미
- Considering the e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anguage to develop a creative music education
- 몸의 미학, 그리고 음악적 이상의 만남
- 스마트-PBL 창작지도 수업설계
- 한국과 조총련의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민요의 동질성 분석
- 국내 음악대학 및 예술중·고등학교 피아노 전공 입시곡에 대한 연구
- 『오디 피아노·피아노 오디』 워크북 교재 분석 연구
-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학생관계 및 부모의 학습관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 오르프 접근법의 말하기를 통한 리듬지도의 실제
- 음악으로 읽는 그림책
- 타악기를 활용한 창의적 표현
- Music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음악교육과 탄력성에 관한 기초 연구
- 음악창작도구에 따른 가락 창작과정 및 결과 분석
- 시도 교육청의 음악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 연주기술 발달에 관한 관련연구 고찰
-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음악과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그룹피아노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그 현황
- 방과후학교 우쿨렐레 위탁강사의 자격증 및 교육과정 분석 연구
- Emotional Robots Controlled By Music
- Learning with Many Senses - Multisensorial Teaching Elemental Music Education for All Ages
- Learning through many senses
- Contrasting methods and approaches in music education
- 한국세계음악교육의 현재와 미래
- 아카펠라 수업 만들기
- The development and impact of popular music instruction in US urban schools
- 발레를 활용한 음악교육
- 장애학생을 위한 소통하는 음악수업
-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Israel
- An Analysis of Japanese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in Japanese Junior High School Music Textbooks
- 아카펠라를 활용한 모둠 창작 활동
- 노래하고 춤추고 연주하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