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담자 욕구에 따른 서비스 제공의 일치성이 통합사례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5
- 영문명
- The Effect of Consistency of Service According to Client s Needs on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김제선(Je-sun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복지경영연구』제1호, 79~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례관리 효과성에 내담자의 욕구에 따른 서비스 제공의 일치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통합사례관리의 효과성은 취업 및 고용 등에 관한 일자리 영역의 통합사례관리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 전과 후에 내담자가 겪는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상황의 어려움이 개선된 정도로, 서비스의 일치성은 취업 및 고용 등에 관한 일자리 영역의 통합사례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 중 해당 서비스를 받은 경우로 각각 정의를 하였다. 2017년 S시의 일자리 영역 통합사례관리 서비스를 받았던 내담자 중 87명을 연구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의 일치성은 평균 12.3%에 불과한 낮은 수준이었으며, 통합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은 서비스 이용 전은 10점 만점 중 평균 3.49점이었다가, 서비스 이용 후에는 평균 5.24점으로 1.75점의 수치가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내담자의 어려움 정도가 이용 전보다 이용 후에 오히려 악화된 것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에 높은 서비스의 불일치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사례관리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how the consistency of welfare service provision according to client s desire influences on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effectiveness. The study used data from 87 people who had received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at S city in 2017.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rvice consistency was low, which was only 12.3% on average.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clients were 3.49 points before service use and 5.24 points after service use. After receiving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it showed 1.75 points increase. This meant that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client was rather deteriorated. In other words,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was confirmed to be negativ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consistency of service is a major influential factor in this negative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재활복지 제29권 제3호 목차
-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인공지능 서비스 도움 정도 인식이 인공지능기술 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시설 보호가 중증장애인 일상생활 능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