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장실습생의 근로안전권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Safety Rights of Students on On-the-Job Trainees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손진희(Son Jin Hee)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9권 제3호, 41~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장실습생의 권리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현장실습생의 안전한 근로참여를 위한 개선방안 및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현장실습 청소년의 근로안전 현황을 살펴보고, 둘째, 청소년 근로와 현장실습과 관련한 국내와 해외 사례를 법과 제도 중심으로 소개하였고, 셋째, 국내 청소년 근로와 현장실습 관련 제도 및 정책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현장실습에서의 청소년의 안전권 보호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청소년 근로안전권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 둘째, 현장실습 가이드라인 제시, 셋째, 현장실습 지원체제 및 기업 인프라구축, 넷째, 안전교육실시 의무화 규정 마련, 다섯째, 실습 매뉴얼 보급 제작, 여섯째, 청소년 근로 안전에 대한 시민의식을 함양을 위한 노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ways to improve the safety of Students on On-the-Job Traine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education at a time when social demands for the protection of rights of field trainees are growing. To that end,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working safety status of the nation s field-trained youth. Second, domestic and overseas cases related to youth work and field practice were introduced based on law and system. Third, the system and policies related to youth work and field practice in Korea were reviewed to derive implications. Based on this, it proposed establishing a clear concept for the labor safety rights of young people, Presenting guidelines for field practice, Construction of On-site Practical Support System and Corporate Infrastructure, Preparation of mandatory safety education, Production of dissemination of practical manuals and Efforts to foster a sense of citizenship about youth work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근로청소년과 현장실습청소년
Ⅲ. 청소년의 근로안전
Ⅳ. 청소년 근로보호 관련 규정
Ⅳ. 외국의 청소년 근로안전 규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